문재인정부 2기 검찰총장으로 지명된 윤석열 후보자는 유독 자유한국당과 많은 악연을 쌓았다.
2013년 10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의 법무부 국정감사에서 국가정보원 대선 개입을 증언해 당시 여당인 새누리당 의원들의 표적이 됐다. 문재인정부에서 서울중앙지검장으로 임명됐지만 국정감사에선 변함없이 한국당 의원들과 대립각을 세웠다. 이제 국정감사가 아닌 인사청문회에서 한국당 의원들을 마주하게 된다.
인사청문회는 험로가 예고돼 있다. 검찰총장 임명은 국회의 동의를 요하지 않지만, 윤 후보자는 인사청문회에서 한국당 의원들의 집중공세를 당할 것으로 보인다. 민경욱 한국당 대변인은 17일 논평에서 “‘혹시나’가 ‘역시나’인 인사”라며 윤 후보자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다.
강골검사를 평가에 걸맞게 개인적인 비위로 논란에 휘말린 적이 없는 윤 후보자에게도 ‘손톱 밑의 가시’는 있다. 장제원 한국당 의원이 지난해 10월 19일 국회 법사위 국정감사에서 제기한 윤 후보자의 장모 사기사건 연루 의혹이 바로 그것이다. 당시 장 의원은 해명을 요구했고, 서울중앙지검장 신분으로 출석한 윤 후보자는 반발했다.
장 의원은 “피해자 9명이 나를 찾아와 ‘(윤석열의) 장모로부터 30억원의 사기를 당했고, 그 장모의 대리인이 징역을 살고 있다. 주범 격인 장모는 거리를 활보하고 있다. 그 배후에 윤 지검장이 있다’고 하소연했다”고 주장했다.
윤 후보자는 “아무리 국감장이지만 너무한 게 아닌가”라고 다소 격양된 말로 반발했고, 장 의원은 “피감기관장이 의원의 발언을 문제로 삼는 것을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윤 후보자는 “서울중앙지검에 나와 관련한 사건은 없다. 이곳에 검사들이 있으니 (자신과 관련한) 고소가 있는지를 여쭤 보라”며 “몇십억 손해를 입은 피해자라면 형사고소를 했을 텐데, 나는 이 사건이 어디에 있는지도 모른다”고 해명했다.
국감장의 충돌은 오후에 재개된 감사에서 윤 후보자가 사건을 해명하고, 법사위원들이 더 이상 문제를 제기하지 않으면서 일단락됐다. 현재 장 의원이 소속된 국회 법사위는 인사청문회법에 따라 윤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이 제출된 날부터 20일 안에 전체회의를 열고 인사청문 절차를 완료해야 한다. 다만 한국당이 국회 등원을 거부한 패스트트랙 정국은 인사청문회의 개최 시기의 변수가 될 수 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