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주공5단지 아파트는 잠실역 인근의 높이 15층의 대단지(35만여㎡) 아파트다. 이 아파트는 박원순 시장 부임 후 층수(35층) 제한을 받지 않는 첫 사례로 관심을 모았다. 일반주거지역을 준주거지역으로 용도 변경하면 최고 50층 아파트를 세울 수 있다. 이 단지의 정비구역 일부가 준주거지역으로 서울시 심의를 통과하며 세간의 관심을 모았다.
재건축조합 측은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진행은 더뎠다. 서울시에서는 국제설계공모를 제안했다. 건축물의 용도, 디자인, 토지이용계획 등을 국제공모 방식으로 정해 다양한 안을 살피겠다는 취지였다. 하지만 공모가 끝난 뒤에도 수권소위원회 상정 등 다음 절차가 진행되지 않아 주민들이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정 조합장은 “조합 측에서 30억원이 넘는 국제설계공모에 막대한 비용을 부담했다”며 “서울시가 제안한 공모 절차를 진행했는데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어 정 조합장은 “박 시장이 나서서 제안한 국제설계공모를 진행했고 국제설계공모만 하면 바로 정비계획을 통과시켜주겠다는 약속도 받았다”며 “조합원들은 서울시청과 청와대 앞에서 열린 집회에 평일인데도 생업을 제쳐두고 수천 명이 참가할 정도로 억울한 마음이 크다”고 덧붙였다.
정 조합장은 “우리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절박한 심정으로 항의할 수밖에 없다”며 “아파트 옥상에 컨테이너 박스를 올려두고 조합사무실을 차리거나 대형 전광판을 설치해 박 시장의 행정을 비판하는 등의 방식으로 투쟁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수도에는 녹물이 터져나와 대중목욕탕을 이용하고 전압이 맞지 않아 변압기를 사용하는 등 여러 가지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조속한 개선을 촉구했다.
주민들을 투기꾼처럼 바라보는 일부 시선에 대해서도 정 조합장은 “전혀 그렇지 않다”고 성토했다. 정 조합장은 “70세 이상의 노인이 약 1400가구이고 이들은 짧게는 30년, 길게는 40년간 이곳에서만 살아온 사람들이다”며 “조합원들이 요구하는 것은 단지 박 시장이 약속을 지키라는 것뿐이다”고 말했다.
서울시 관련 부서는 관련내용에 대한 국민일보의 질문에 답변을 거부했다.
이은철 기자 dldms878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