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양수발전소’의 포천시 유치를 위해 총력전을 펼치기로 했다.
경기도는 총 사업비 1조원 가량이 투입되는 양수발전소의 포천시 유치를 위해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한국수력원자력㈜은 국내에 500~800㎿급 양수발전소를 건립하고자 지난 2월부터 발전소 후보지 자율유치 공모를 진행했다.
양수발전소는 흐르는 물을 막아 전력을 발생하는 수력발전소와 달리 전력수요가 낮은 시간대에 남는 전기로 하부댐의 물을 상부댐으로 끌어올려 저장한 뒤 전력수요가 높은 시간대나 전력수요 급증 시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의 발전을 말한다.
포천시는 지난달 31일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일대에 750㎿ 규모의 양수발전소를 건립하는 내용의 ‘포천시 사업계획서’와 발전소 유치를 희망하는 지역주민 12만2734명의 서명을 담은 ‘서명서’를 한국수력원자력에 제출했다.
공모 마감 결과 포천시와 강원 홍천군, 경북 봉화군, 충북 영동군 등 4개 지자체가 응모해 유치를 놓고 경쟁을 벌이게 됐다.
지난 7일 포천 지역일대 사업부지를 방문한 이재명 도지사는 “양수발전소 유치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안정적인 수도권 전력 수급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남북통일에 대비한 전력생산의 기반을 구축하겠다”며 “양수발전소 유치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
도는 포천 양수발전소의 예상발전 설비용량이 750㎿(원자력 발전소 1기 기준 75% 수준)로, 현재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는 홍천(600㎿), 봉화(500㎿), 영동 (500㎿)보다 발전 효율 면에서 우수한데다 전력수요가 많은 수도권과 가까워 송전선로 개설비용 절감 및 송전거리 단축에 따른 전력손실 감소에 효과적인 만큼 충분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에 포천시 유치를 적극 건의하기로 했다.
포천시에 양수발전소가 유치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적 지원도 아끼지 않기로 했다.
또 국회 산업통상자원 중소벤처기업위원회, 도내 지역구 국회의원, 담당 중앙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에 협조를 구하는 등 적극적인 조치를 통해 양수발전소 포천 유치가 성사되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포천지역 일대는 지역주민의 절반 이상이 60세 이상인 농촌마을이지만 양수발전소 건립에 있어서는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는 타 지역에 비해 효율 등 모든 면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최적에 입지”라며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일자리 창출 등에 큰 효과가 있는 만큼 양수발전소가 반드시 유치될 수 있도록 노력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모 결과는 14일 발표될 예정이다.
도는 포천시에 양수발전소가 건립될 경우 총 7982명의 고용유발 효과는 물론 1조6839억원의 생산유발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