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 내홍 ‘성역 없는 혁신위’로 우선 일단락했지만...

입력 2019-06-10 20:25

바른미래당 당권파와 퇴진파가 10일 ‘성역 없는 혁신위원회’ 설치로 뜻을 모으면서 4·3 국회의원 보궐선거 이후 두달여 간 지속된 당내 갈등이 일단락 됐다. 다만 위원장 인선 등 구체적 방법론에서 양측이 합의를 보지 못해 향후 당내 갈등의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오신환 원내대표는 오후 4시간에 걸친 의원워크숍 끝에 “혁신위를 설치해 당의 혁신과 21대 총선을 위한 모든 혁신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며 “혁신위가 최고위원회의에 안건을 상정하면 이를 최대한 존중해 토론을 거쳐 결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오 원내대표는 “혁신위가 손학규 대표 퇴진이나 임기 보장 등 어떤 내용을 전제해 활동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의견들이 많았다”며 “모든 내용을 다룰 수 있는 ‘성역 없는 혁신위’가 돼야 한다는 합의를 이뤘다”고 설명했다.

당초 바른정당계에서 요구한 의결권까지 갖는 혁신위에서는 한 발 짝 물러난 것이나, 손 대표 퇴진 문제까지도 안건으로 다룰 수 있는 혁신위라는 절충점을 찾은 것이다. 그간 퇴진파(유승민·안철수계)에서는 손 대표 퇴진 여부까지 결정하는 ‘전권 혁신위’를 주장했지만 당권파(손 대표 측)에서는 “대표 퇴진을 전제로 한 혁신위는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바른정당계 한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대표 즉각 퇴진이 아니라는 점에서 혁신위 자체가 달갑지는 않다”면서도 “어쨌든 명시화되지 않았지만 대표 거취 문제까지도 혁신위에서 열어둔 채 논의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동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최고위원 9명 중 5명이 퇴진파인 만큼 안건 의결의 키는 퇴진파가 쥐고 있다.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최대 쟁점이었던 혁신위원장 인선은 양 계파가 논의를 진행하지 못했다. 오 원내대표는 “이미 언론에 거론된 몇 분에 대해서 이미 대부분 최고위원과 의원들이 알고 있었지만, 오늘 워크숍에서는 어느 분의 이름도 거론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현재 퇴진파는 당내 최다선 의원인 정병국 의원을, 당권파는 손 대표의 싱크탱크인 동아시아미래재단 이사를 지낸 주대환 플랫폼 ‘자유와 공화’ 공동의장을 혁신위원장으로 밀어붙이고 있다.

양측이 각자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며 팽팽히 맞서고 있어 ‘위원장 인선’ 문제로 양 계파의 갈등이 재점화될 가능성이 높다. 당권파 측 핵심관계자는 통화에서 “이제 위원장 인선만 남은 상태”라며 “양측이 팽팽하나 어쨌든 위원장 인사권은 손 대표에게 있으니 대표 의견을 존중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형민 김용현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