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을 위해 비무장지대(DMZ) 이남으로 넘어오는 멧돼지를 즉각 포획 및 사살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군 관계자는 “북한 야생 멧돼지 식별시 대응지침을 지난주 전군에 하달했다”고 9일 밝혔다.
대응지침에 따르면 군은 DMZ 남방한계선(군사분계선 남방 2㎞)을 넘는 멧돼지를 식별할 경우 즉시 포획하거나 사살해야 한다. 한강하구 등 강이나 바다를 통해 넘어오는 멧돼지도 같은 방식으로 대응하도록 했다. 포획되거나 사살된 멧돼지는 방역당국이 처리한다.
군 당국은 이 같은 지침을 하달하기 전 유엔군사령부와 실무협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DMZ 남방한계선을 넘는 멧돼지에 대한 포획 및 사살 대응이기 때문에 군사합의와는 관련 없다”며 “북측에는 별도로 통보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앞서 이낙연 국무총리는 DMZ가 있는 강원 철원군의 양돈농장과 민통선 지역을 방문해 “남쪽으로 내려오는 멧돼지를 발견하면 즉시 사살해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남한으로 전염되는 것을 차단하라”고 주문했다. 이 총리는 “돼지열병 전염의 주범인 멧돼지를 차단하기 위해 사살과 포획을 허용했으니 개체수를 최소화하더라도 제대로 해달라”고 당부했다.
돼지과 동물에만 감염되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은 현재까지 개발된 백신이 없는데다 폐사율이 100%에 가까울 만큼 치명적인 전염병이다. 우리나라와 인적·물적 교류가 많은 아시아 국가에서 지속적으로 확산되면서 해외 여행객 휴대품 등을 통한 국내 전염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백승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