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김원봉 독립유공자 서훈 불가능”

입력 2019-06-10 17:27

청와대가 약산 김원봉에 대한 독립유공자 서훈 추서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이 현충일 추념사에서 김원봉을 언급한 이후 서훈 논란이 불거지자 청와대가 진화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10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 포상 심사 기준이 있다”며 “기준에 따르면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적극 동조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정부수립 이후 반국가 활동을 한 경우 포상에서 제외한다”고 말했다.

이어 “해당 조항 때문에 김원봉 선생은 훈격 부여가 불가능하다”며 “기준을 바꿔 서훈 추서를 할 수 있다거나 혹은 보훈처에서 알아서 결정할 수 있다는 건 사실이 아니다. 규정에 의해서 판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보훈처와 청와대는 지금 당장 (기준을) 고칠 의사가 없다”며 “더 이상 논란의 여지가 없는 부분”이라고 선을 그었다.

청와대는 조선의열단 100주년 기념사업을 정부가 지원한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추진 단체에서 기념식을 개별적으로 할 수는 있겠지만 정부의 예산 지원은 없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김원봉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광복군에는 무정부주의 세력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이어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돼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 역량을 집결했다”며 “통합된 광복군 대원들의 항쟁 의지, 연합군과 함께 기른 군사적 역량은 광복 후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되고 나아가 한·미동맹의 토대가 됐다”고 연설했다.

강문정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