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로 따로’ 정부·지자체 부동산 실거래 공개정보, 하나로 통일한다

입력 2019-06-10 15:51
서울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소 모습. 뉴시

정부와 수도권 지방자치단체마다 제각각이던 부동산 실거래 정보를 하나로 통일한다. 그동안 서울시와 인천시, 경기도는 같은 실거래 신고자료를 활용하면서도 운영 주체에 따라 제공하는 실거래 공개정보가 달라 이용자들 사이에서 혼란이 있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는 11일부터 실거래가 정보를 일원화해 국민들에게 동일한 실거래 정보를 제공한다고 10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국토부와 각 지자체가 시·군·구로부터 각각 데이터를 제공 받아 공개하면서 같은 실거래 신고 자료를 활용하더라도 취합 시점이나 공개 기준 등의 차이에 따라 정보가 달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부와 지자체는 지난해 7월부터 네 차례에 걸친 논의를 거쳐 일원화 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국토부가 일괄적으로 실거래 데이터를 전부 취합한 뒤 이를 각 지자체 시스템에 제공(API)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어떤 시스템에서도 같은 실거래가를 사용한다는 뜻이다.

또 제공하는 실거래가 정보와 거래 현황 자료도 ‘계약일’ 기준으로 통일한다. 국토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은 이미 계약일 기준으로 정보를 공개해 왔지만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 등 일부 지자체는 부동산 거래 ‘신고일’ 기준 정보를 사용했다. 부동산 거래는 계약일로부터 60일 안에 신고하면 되기 때문에 국토부와 서울시 등의 실거래 정보 사이에 최대 60일간의 시차가 발생했다.

또 개인정보 보호 차원에서 거래 당사자가 특정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계약일 기준 10일 단위로 실거래 정보를 공개해왔지만 앞으로는 서울시 등과 마찬가지로 일 단위(계약일 명시)로 변경했다. 국토부는 이번 조치로 연간 2000만명이 이용하고 있는 실거래 정보를 혼선 없이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민간 산업 영역에서 신규 사업모델을 발굴하는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통합된 실거래가 정보는 11일부터 국토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 인천시 스마트GIS인천, 경기도 부동산포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