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명칭이 ‘수도권순환고속도로’로 마침내 바뀔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가 주도적으로 나선 명칭 개정에 서울시와 인천시가 최종 합의했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서울시가 최근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명칭 개정에 동의하는 서울시와 송파·노원·강동구 등 3개 구청 동의서를 경기도에 공식 통보했다고 9일 밝혔다.
이로써 정부에 명칭 개정 건의를 위한 법적 준비절차가 완료된 셈이다.
경기도는 10일 국토교통부에 명칭 변경을 공식 건의할 계획이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지난해 3월 경기도지사 선거 당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라는 이름은 서울 중심의 사고”라며 “경기도지사가 되면 이름부터 바꿀 것”이라고 공약한 바 있다.
이 지사가 경기도지사에 당선되고 이후 경기도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이름을 수도권순환고속도로로 바꿔야 한다며 이에 동의한 인천시와 함께 지난해 12월 21일 국토부에 명칭 개정을 건의했다.
하지만 현행 제도는 고속도로의 명칭 변경을 위해서는 해당 노선을 경유하는 모든 지자체장의 동의를 얻어 2개 이상 지자체장이 공동 신청하도록 돼 있는데 해당 노선을 경유하는 지자체장의 동의 부분이 발목을 잡았다.
이에 따라 그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일부 구간이 경유하는 서울시 송파구와 노원구, 강동구 때문에 경기도는 서울시·3개 구청과 동의를 이끌어 내기 위한 협의를 지속적으로 펼쳤다.
이 지사 취임 후 경기도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명칭 개정을 ‘경기 퍼스트’ 공약의 주요 역점사업으로 선정하고 관련 지자체를 대상으로 설득 작업을 벌였다.
경기도는 지난해 12월 인천시와 도내 14개 시·군 동의를 이끌어 냈다.
올해 1월에는 이화순 행정2부지사가 서울시 행정2부시장을 만나 명칭변경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실무협의회 구성에 합의했다.
실무협의회는 4차례 회의를 거쳐 지난 4월 11일 명칭개정에 원칙적으로 합의하는 성과를 이뤘고, 서울시는 3개 구와 서울시의회 동의 절차를 진행해 5일 최종 동의서를 경기도에 전달했다.
경기도의회 역시 지난 1월 기자회견을 통해 명칭개정의 필요성을 밝히고, 명칭개정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는 등 명칭개정을 적극 지원했다. 양주·의정부 등 13개 시의회에서도 연달아 결의안을 채택하는 등 힘을 보태기도 했다.
방윤석 경기도 건설국장은 “명칭 변경은 경기도와 인천시를 서울 외곽으로 만들어버리는 기존 이름을 버리고 수도권이라는 새로운 희망과 꿈의 지역으로 변화를 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면서 “어려운 결정을 해준 서울시와 3개 구청에 감사를 전한다. 꼭 명칭 변경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는 경기도(고양·파주 등 14개 시·군), 서울특별시(송파·노원·강동 등 3개구), 인천광역시(부평·계양 등 3개구)의 주요 도시를 원형으로 연결하는 총 연장 128㎞ 왕복 8차로 고속국도이다. 1기 신도시 건설에 따른 수도권 교통정체 해소를 목적으로 1988년 착공해 2007년 전구간이 개통됐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