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당권파와 퇴진파로 나뉘어 극한 대치를 이어가고 있는 당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주대환(현 ‘플랫폼 자유와 공화’ 공동의장) 혁신위원장 카드’를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7일 알려졌다.
손 대표 측 당권파 핵심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오늘 최고위원회의 후 당권파 회의를 열어 주 의장을 혁신위원장으로 내세우기로 일정 부분 가닥을 잡았다”고 말했다. 주 의장은 1979년 부마항쟁 당시 투옥되는 등 80년대 노동운동에 투신한 재야인사다. 옛 민주노동당에서 정책위의장을 지냈고, 사회민주주의연대 공동대표를 역임했다. 현재 바른미래당 당무감사위원장을 맡고 있다.
당헌·당규상 혁신위 설치는 최고위 의결 사항으로 재적 최고위원 9명 중 5명이나 되는 퇴진파 최고위원들이 반대하면 설치 자체가 무산될 수밖에 없다. 당권파 측은 이번주 주말을 포함해 의원 연찬회가 예정된 다음주 월요일까지는 반대파인 유승민·안철수계 연합군을 최대한 설득해보겠다는 입장이다.
이 관계자는 “끝내 주대환 혁신위원장 카드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혁신위 논의 자체를 종결할 생각”이라며 “이 경우 비록 반쪽짜리이나 당대표 직속 기관인 통합개혁특별위원회를 활용해 당 내홍을 수습하려 한다”고 말했다. 개혁특위는 대표가 직권으로 위원장을 임명할 수 있는 내부 조직으로 최고위 의결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당권파 측은 개혁특위를 활용할 경우 위원장은 주 의장이 아닌 당 내부인사를 임명하겠다는 입장이다.
‘정병국 전권 혁신위’ 수용을 촉구하며 손 대표를 압박하고 있는 유·안 연합군 측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퇴진파 관계자는 통화에서 “당권파 측에서 최고위 의결 없이 당대표 직속위원회를 밀어붙이려는 움직임도 있는 것으로 안다”며 “당대표라는 사람이 앞문으로 안 다니고 그렇게 뒷길로만 다니려 한다면 대표로서의 책임을 저버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