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멕시코가 지난 5~6일(현지시간) 불법 이민 해결을 위한 고위급 회담을 가졌지만 합의안 도출에 이르지 못했다. 미국은 예고한대로 10일부터 멕시코산 상품에 대해 5%의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다만 협상에서 진전을 이룬 만큼 이번 주말 회담에서 극적인 타결을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블룸버그통신은 7일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전날 펜실베니아에서 기자들에게 “현 시점에서 관세는 월요일(10일)에 부과될 것”이라며 “유럽 방문을 마치고 7일 귀국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주말 동안 멕시코의 제안에 관해 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멕시코가 (두 번째 고위급 회담에) 더 많은 것을 갖고 왔다는 것에 대해 고무됐지만, 그것은 대통령이 고려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양국이 주말까지도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미국은 10일부터 3500억 달러(412조5100억원) 규모의 멕시코산 수입품 전품목에 5%의 관세를 물린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은 지난달 30일 “멕시코를 통한 불법 이민자 유입이 중단될 때까지 멕시코에서 들어오는 모든 상품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면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순차적으로 관세를 올려 10월에는 25%까지 부과된다”고 밝힌 바 있다.
로이터는 “멕시코가 6000명의 국가방위군을 과테말라와의 국경 지대에 배치, 불법 이민행렬을 막겠다는 방안을 내놨다”고 전했다. 이외에 멕시코 정부는 불법 이민 브로커 26명이 소유한 것으로 의심되는 계좌를 동결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회담과 관련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진전이 이뤄지고 있지만 충분치 않다”며 관세 철회 수준에는 이르지 못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멕시코에 강력한 이민억제책을 요구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멕시코를 ‘안전한 제3국(safe third country)’으로 지정하라는 요구까지 나온 상태다. 안전한 제3국 방안은 중남미 출신의 미국 망명 희망자들이 미국 대신 멕시코에서 망명 신청을 하라는 것이다. 미국에서 망명이 거절될 경우 멕시코에서 난민 지위를 신청할 수 있다는 뜻으로 자칫 멕시코가 모든 미국 망명 희망자를 떠안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멕시코는 고위급 회담이 시작되기 전부터 “미국 정부가 아직 공식적으로 ‘안전한 제3국’ 방안을 제안하지 않았지만, 이는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강조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멕시코가 당초 예정된 관세 부과 시점인 10일을 앞두고 미국에 협상을 위한 추가 시간을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미 정부 관계자는 블룸버그통신에 “미국은 멕시코가 진지하게 협상에 임하고 있고, 또 우려를 다루기 위해 신속히 움직이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면서 “5%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멕시코가 불법 이민 단속을 위한 약속을 이행하면 관세 부과가 단기간으로 끝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