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7일 문재인 대통령의 현충일 추념사에서 붉어진 ‘김원봉 논란’에 대해 “대통령 메시지의 핵심은 통합으로 갈 수 있다는 취지”라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메시지는 애국 앞에서 보수, 진보 없다. 정파와 이념을 뛰어넘어 통합으로 가자는 취지”라며 “취지에 대한 역사적 사례로 말씀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6일 문 대통령은 현충일 추념사에서 “광복군에는 무정부주의 세력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이어 약산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되어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역량을 집결했다”고 말했다. 이에 자유한국당을 비롯한 야당에서는 김원봉이 해방 이후 북한에서 고위직으로 활동한 사회주의 독립운동가라는 점에서 문 대통령의 발언이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임시정부도 이념과 정파를 뛰어넘었다. 백범일지에 보더라도 김구 선생께서 임시정부에 모두 함께하는 대동단결을 주창한 바 있다”며 “거기에 김원봉 선생이 호응한 것으로 나와있다”고 말했다. 이어 “독립과정에 있었던 김원봉 선생의 역할에 대해 통합의 사례로 이야기한 것”이라며 “마치 김원봉 선생이 국군의 뿌리, 한미동맹의 뿌리라고 말한 듯이 주장하는 것은 그 자체가 비약이다. 맥락을 보더라도 통합된 광복군이 국군 창설의 뿌리이고 한미동맹의 뿌리라고 분명하게 이야기했다. 그런 점을 종합적으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의 발언이 김원봉의 독립유공자 서훈으로 이어지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비약이다. 서훈 여부는 절차와 기준에 따라 정하면 될 일”이라며 “대통령이 언급했다고 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