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신청사 건립을 놓고 대구시 측과 유치 희망 기초단체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사업 주체 간 입장이 엇갈리면서 대구시가 세운 올해 내 입지 선정 방침도 이뤄질 수 있을지 미지수다.
7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지난달 말 4개 신청사 유치 희망 기초단체 중 북구를 제외한 중구와 달서구, 달성군 단체장들이 모여 신청사 건립 관련 비공개 회담을 가진 후 공동 의견문을 발표했다.
현위치 타당성 조사연구를 포함한 공정한 용역추진과 대구경북연구원 참여 배제, 각 구·군 추전 공론화위원 추가와 회의 내용 공개, 시민참여단 구성을 250명에서 1000명으로 확대, 감점제도 폐지 등을 대구시와 공론화위에 요구하는 내용이다.
하지만 시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청사 건립을 주관하고 있는 대구시 신청사 건립추진 공론화위원회는 시민참여단 확대 구성 등은 지난해 말 제정한 ‘대구시 신청사 건립을 위한 조례’에 어긋나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없고 과열 유치 경쟁 방지를 위한 감점제도 폐지 등 나머지 요구도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북구도 공론화위 의결에 따르겠다며 다른 기초단체들과 선을 그었다.
갈등이 해결될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 5일 열릴 예정이던 김태일 공론화위원장과 3개 구·군 신청사건립추진위원장 간 면담도 이견으로 무산됐다.
대구경실련은 시청 신청사에 대한 입지선정방식과 일정을 전면 재조정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구경실련 관계자는 “북구를 제외한 3개 구·군이 공론화 의견에 불복하며 갈등을 빚고 있다”며 “대구시가 관련 조례에 따라 해소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대구시는 그동안 난항을 겪은 신청사 건립을 위해 전문가 등 19명으로 구성한 대구시 신청사 건립추진 공론화위원회를 공식 발족했으며 오는 10∼11월 구·군을 상대로 후보지를 접수한 뒤 12월에 시민참여단 평가를 거쳐 최종 부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공론화위 시작부터 중구가 현 위치 타당성 조사 용역이 먼저라고 주장하며 공론화위 방침을 따르지 않기로 해 불안한 출발을 했고 이후 달서구와 달성군도 불복 분위기에 동참하면서 신청사 건립 추진이 난항을 겪고 있다.
대구=글·사진 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