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의 죽음에 대한 세간의 동병상련을 회 처먹고, 찜 쪄먹고, 그것도 모라자 뼈까지 발라 먹고 진짜 징하게 해쳐 먹는다”는 망언으로 세월호 유가족들을 폄훼했다 3개월의 당원권 정지 처분을 받은 차명진 전 자유한국당 의원이 활동을 재개하며 망언을 쏟아냈다.
이는 머리 숙여 사과하고 SNS와 방송활동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지 50일 만이다. 때문에 솜방망이 처벌로 한국당 의원들의 막말이 계속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 황교안 한국당 대표의 거듭된 사과와 당부가 무색할 정도라는 의견도 적지 않다.
차 전 의원은 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다시 활동을 재개하겠다고 선언했다. 차 전 의원은 “전교조 명단 공개로 1억2000만원 배상판결을 받아 집까지 날린 적 있다”며 “세월호 측이 제발 민사소송이라는 고통스러운 무기만은 휘두르지 말아줬으면 하는 순진한 마음으로 방송과 유튜브, 페북 등 정치 활동을 끊고 납작 엎드렸다”고 운을 뗐다.
“그런데 오늘 법원에서 소장이 날라왔다. 137명으로부터 1인당 300만원씩, 총 4억1000만원에 연리 15%를 배상하라는 소송이 제기됐다”고 한 차 전 의원은 “지금 이 순간이 지옥이다. 좌파언론의 집중적인 뭇매, 일체의 방송 활동에서 잘리고 형사소송당하고 30년간 몸담아온 당에서 쫓겨나고 급기야 살아생전 갚기는커녕 만져보지도 못한 4억1000만원의 손배소송까지”라고 했다.
“그래서 결심했다. 더 나빠질 것도 없다. 내가 머리 조아린다고 그 누구도 나를 동정하지 않는다. 내가 몸 던져 보호하려 했던 사람조차 나를 적들의 아가리에 내던졌는데 더 이상 무슨 미련이 있으랴”고 한 차 전 의원은 “꽥 소리라도 하고 죽겠다. 할 말은 하겠다. 좌파 기자들은 세월호 측이 나에게 4억1000만원의 소송을 했다는 기사는 절대 안 낼 것. 페친 여러분께서 차명진의 이 참혹한 상황을 널리 알려달라”고 호소했다.
이후 차 전 의원은 세월호 관련글을 왜 쓰게 됐는지에 대해 길게 설명했다. “첫째는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사고로 오명을 뒤집어쓰고 각종 괴담에 시달렸으며 자신 또한 과거 방송에서 박 대통령 비하에 동조한 전력이 있어 부끄러움이 있었다”고 한 차 전 의원은 “박 대통령을 거짓 마녀사냥에서 보호해야 한다는 생각이 나를 분노케 했다”고 했다.
차 전 의원은 두 번째 이유로 “좌파들이 우파 지도자를 쓰러뜨렸고 우파는 이를 지켜보기만 했다. 지금 황교안 대표가 그 덫에 걸렸다”며 “세월호가 황 대표를 좌초시키기 위한 좌파의 예리한 무기로 활용되고 있다. 또다시 우파의 지도자를 잃고 궤멸하지 않기 위해 내 한 몸이라도 던져 세월호 괴담을 막아야 한다는 절박감이 나를 분노케 했다”고 했다.
마지막이자 세 번째 이유로 차 전 의원은 “세월호 유가족이 모두는 아니지만, 유가족이라는 이름을 빌린 집단들이 어느덧 슬픔을 무기 삼아 신성불가침의 절대권력으로 군림했다”며 “하늘 높이 솟아 있는 세월호를 땅으로 끌어 내려야 한다는 사명감에 분노의 글을 썼다. 나는 사적으로, 공적으로 세월호 괴담의 피해당사자다. 피해당사자가 절박한 상황에서 분노를 표현하는 글을 쓰면 안 되냐?”고 반문했다.
앞서 차 전 의원은 세월호 참사 5주기 전날인 4월 15일 세월호 유가족들을 폄훼하는 발언을 했다. 같은 당 정진석 의원도 5주기 당일엔 “세월호 좀 그만 우려먹어라. 죽은 애들이 불쌍하면 이러면 안 된다. 이제 징글징글하다” 등의 내용을 지인에게 받은 글이라며 게시했다.
황 대표는 4월 16일 세월호 참사 일반인 희생자 추모제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차 전 의원과 정 의원의 세월호와 관련된 부적절하며 국민 정서에 어긋난 의견 표명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면서 “세월호 유가족과 국민께 당 대표로서 진심어린 사과의 말씀 드린다”고 밝혔다. 그는 또 “부적절한 발언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고 있고 절차에 따라 조치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한 달이 지난 5월 29일 한국당은 11호 ‘윤리위규정’ 21조 “당원에 대한 징계는 제명, 탈당권유, 당원권 정지, 경고로 구분한다”는 당규에 따라 차 전 의원에게 3개월 당원권 정지, 정 의원에겐 경고의 처분을 내려 ‘솜방망이 처분’이라는 논란이 일었었다.
이후에도 계속된 막말로 한국당 의원들이 비난 여론에 휩싸이자 황 대표는 지난 3일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에서 “항상 국민의 눈높이에서 생각해 심사일언 하라(深思一言, 깊이 생각하고 말하라)”고 당부했다. 그러나 이날 한선교 사무총장이 기자들을 향해 막말성 발언을 했고 다음 날 차 전 의원이 세월호 관련 막말을 재개하면서 황 대표의 경고가 무색해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