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중소벤처기업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과 손을 맞잡고 ‘제주형 전기차특구’ 조성 방안을 마련한다.
제주도는 지난달 27일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규제자유특구 지자체 과장급 회의에서 제주도와 울산광역시, 전라북도 등 3개 지방자치단체가 ‘전기차특구 조성을 위한 컨설팅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컨설팅은 특구 지정 후 효과 반감 등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한다는 취지에 맞춰 완성도 높은 계획(안)을 수립하기 위해 시행된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의 컨설팅과 제주도가 추구하고자 하는 특구의 청사진을 특구계획(안)에 포함시켜 중소벤처기업부와 특구 지정을 위한 협의를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도는 그동안 전기차 보급(1만6352대, 국내 운행 차량의 25%)과 서비스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 내 혁신성장자원(전기차·충전기·배터리)을 포함한 전기차 관련 사업 확대에 주력해 왔다.
도 관계자는 “제주도는 연계산업이 동반 성장하는 전기차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이번 전기차 규제자유특구를 추진해 왔다”며 “전기차특구가 지정되는 시점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특구 계획의 완성도를 높여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