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곳곳에서 정부의 3기 신도시 지정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수백 명 수준에 불과했던 반대 집회 참여 주민은 횟수를 거듭하면서 수천 명으로 늘었고 연합회 등을 구성해 조직적으로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주말 연휴인 지난 1일에는 파주 운정신도시에 이어 2일에는 남양주 다산신도시 주민들이 각각 3기 신도시로 지정된 고양 창릉지구와 남양주 왕숙지구의 백지화를 촉구했다.
파주 운정신도시연합회는 지난 1일 운정 새암공원에서 주민 15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고양 창릉지구 3기 신도시 지정 철회를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승철 운정신도시연합회장은 “3기 신도시로 지정된 고양 창릉지구의 경우 지난해 도면 유출된 원흥지구의 부지 중 3분의 2가량이 일치해 투기세력이 있을 수 있어 전수조사를 통해 낱낱이 공개해야 한다”며 “경기남부 신도시들과 상대적인 차별과 박탈감을 넘어 1·2기 신도시 주민들의 삶의 질을 말살하려는 정책으로 3기 신도시 지정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3기 신도시 반대 집회 초 수백여 명밖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이날 4회째를 맞은 집회에는 운정·일산·검단신도시 주민 등 1500여명이 넘게 참여하는 등 점점 규모가 커지고 있다.
지난 2일에는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지구를 반대하는 남양주 다산신도시 주민들의 집회가 열렸다. 이날 오후 다산신도시 수변공원에서 열린 집회에는 남양주 다산신도시 총연합회 주민들과 왕숙지구 강제수용에 반대하는 주민 등 3000여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다산신도시의 교통대책이 미비한 가운데 정부가 3기 신도시를 지정·추진하고 있는 것을 비판했다.
집회는 초청가수의 공연과 촛불문화제 등이 펼쳐지며 평화적인 분위기로 ‘3기 신도시 전면 백지화’를 촉구했다.
총연합회 관계자는 “수도권의 신도시 추진은 국가의 미래와 환경, 국민의 삶의 질을 좌우할 중대사안이지만 급하게 서두르며 졸속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정부가 계획한 수도권에 30만 세대 공급 중 22%에 해당하는 6만6000호가 왕숙지구에 조성되는데 설익은 정책을 펴고 있어 교통대란이 걱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3기 신도시 중 규모가 가장 큰 남양주 왕숙지구의 교통 문제를 외면하고 경기 서북부에 집중된 광역교통망 개선 대책을 발표했다”며 “3기 신도시 지정을 전면 백지화하고 교통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3기 신도시 지정 철회를 요구하는 일산·운정·검단지역 주민들은 오는 9일 고양시 일산서구 주엽동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의 지역사무실 앞에서 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며, 남양주 다산신도시 총연합회도 대규모 집회를 계획 중이다.
남양주=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