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미래연합사령관은 ‘합참의장 겸직 않는 한국군 4성 장군’ 임명”

입력 2019-06-03 15:00
패트릭 섀너핸 미 국방장관 대행(왼쪽)이 3일 오전 국방부 청사를 방문해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한·미 국방장관이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이후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겸직하지 않는 별도의 한국군 4성 장군’을 미래연합군사령관으로 임명하기로 했다. 또 한미연합사 본부를 경기도 평택 험프리스 기지로 이전하는 방안도 승인했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패트릭 섀너핸 미 국방장관 대행은 3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회담을 갖고 한반도 안보 상황과 한미동맹 현안을 논의했다. 국방부는 회담 후 “한·미 양국 장관은 전작권 전환이 한미동맹을 더 강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한·미 소관당국이 긴밀한 협의를 통해 건의한 ‘미래연합군사령관은 합참의장을 겸직하지 않는 별도의 한국군 4성 장성으로 임명하는 방안’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패트릭 섀너핸 미 국방장관 대행이 3일 오전 양국 관계자들과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뉴시스

국방부는 “양 장관은 전작권 전환을 위한 조건 충족에 있어 상당한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에 주목하면서, 올해 후반기 미래연합군사령부의 기본운용능력(IOC) 검증 결과에 기대감을 표명했다”고 전했다.

또 “양 장관은 연합사 본부를 험프리스 기지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승인했으며, 이러한 조치가 연합사의 작전 효율성과 연합방위태세를 향상시킬 것이라는 데 공감했다”고 했다. 송영무 국방부 장관 재임 시절 연합사 본부를 국방부 영내로 이전하는 방안이 논의됐지만 결국 ‘캠프 험프리스’로 옮기는 것으로 합의된 것이다.

정 장관과 섀너핸 대행은 연합사 본부를 이전하는 과정에서 연합사의 대비태세와 용산공원 조성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패트릭 섀너핸 미 국방장관 대행(오른쪽). 뉴시스

아울러 한·미 국방 장관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정착을 위한 양국의 외교적 노력을 뒷받침해 나갈 것이라는 공약을 재확인했다. 국방부는 “한·미 국방장관은 북한의 최근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면서, 북한의 핵·미사일 활동에 대한 정보공유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공조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미 국방장관은 키리졸브연습(KR)을 대체해 실시된 ‘19-1 동맹’ 연습에 대해 “현행 외교적 노력을 군사적으로 뒷받침함과 동시에 굳건한 연합방위태세 유지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후반기 한·미 연합연습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