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의 안보 수장이 일본 초계기 저공위협 비행 이후 8개월 만에 마주 앉았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1일(현지시간) 제18차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가 열린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에서 이와야 다케시 방위상과 회담을 했다. 회담은 오후 2시30분부터 오후 3시10분까지 40분 동안 비공개로 진행됐다.
한·일 국방장관회담은 지난해 10월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 이후 8개월 만이다.
정 장관은 회담을 마치고 호텔 로비에서 기자들과 만나 “일본과 한국은 초계기 근접 위협 비행과 관련해 허심탄회하게 솔직한 의견을 나눴다. 양국이 긴밀하게 잘 협력하면서 앞으로 향후에는 이런 일들이 재발하지 않도록 발전시켜나가자고 하는 데 의견을 일치시켰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은 인접한 우방국으로서 앞으로 국제사회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에 대해서 긴밀하게 협조하고 공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런 부분에 대해서도 같이 협력하면서 발전시켜 나가자고 하는 데 좋은 의견 일치를 봤다”며 “양국 관계가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적극적으로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정 장관은 ‘일본 측이 초계기의 저공위협 비행을 인정했냐’는 질문에 “여러 가지 사안에 대해서 솔직한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그 부분이 잘되고 못되고 이런 것을 떠나서 앞으로 그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발전시켜 나가자는 데 대해서 의견 일치를 봤다”고 했다.
‘초계기 논란이 마무리됐냐’는 질문에는 “마무리가 됐다기보다 많은 의견을 교환했고 앞으로 그런 일들이 재발하지 않도록 계속해서 실무적으로 잘 발전시켜 나가자는 데 대해서 의견을 일치시켰다”고 말했다.
한·일 관계는 지난해 10월 일본이 욱일기 게양 문제로 제주 국제관함식에 불참한 데 이어, 같은 해 12월 초계기로 우리 구축함에 저공 위협 비행을 하면서 악화해 왔다. 양국은 초계기 갈등이 극에 달한 지난 1월 싱가포르에서 가진 첫 대면 회의 이후 꾸준히 양자 회담 개최를 타진해왔고, 샹그릴라 대화 기간 막판까지 조율에 진통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