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26년차 왕종근 “졸혼? 아내가 남편에게 협박하는 수단”

입력 2019-05-30 14:11 수정 2019-05-30 14:30
왕종근. KBS 1TV ‘아침마당’

방송인 왕종근(65)이 졸혼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왕종근은 30일 오전 방송된 KBS 1TV ‘아침마당’에 출연해 졸혼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다.
·
졸혼은 ‘결혼을 졸업한다’는 뜻의 신조어로, 법적 혼인 관계는 유지하되 간섭하지 않고 독립적인 삶을 꾸리는 부부 관계를 말한다.

이날 왕종근은 졸혼에 대해 “아내가 남편에게 하는 협박 수단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졸혼이라는 것은 혼인 생활을 졸업하겠다는 말 아니냐. 학교도 졸업은 아무나 안 시킨다”고 말했다.

이어 “졸혼이라는 말이 성립되려면 부부가 아름답게 잘 지내야 한다. 자식들이 ‘부모님이 정말 아름답게 살았으니 서로에 대한 의무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살아봐라’ 할 때 그게 졸혼”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런 의미에서 난 졸업할 자격이 없다. 그래서 나는 졸혼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앞서 왕종근은 2017년 자신의 아내가 졸혼을 요구해 거부한 사연을 밝힌 바 있다. 왕종근은 1994년 결혼해 슬하에 1남을 두고 있다.

당시 왕종근은 같은 방송에 출연해 “올 초 집사람이 ‘우리 졸혼할래?’라고 하더라. 내가 바깥 생활을 좋아하고, 외출도 주로 혼자 한다면서 내 사랑에 의심이 간다고 하더라”며 “그래서 내가 졸혼을 하려면 결혼 생활 한 60년 하고 해야지, 24년하고 졸혼하면 그건 조퇴라고 했다”고 말했다.

최근 작가 이외수, 배우 백일섭 등 유명인들의 졸혼 소식이 알려지면서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이른바 ‘100세 시대’에 들어서면서 노년기 결혼 생활에 대한 인식이 변하고 있다.

평균수명이 70~80세이던 시절에는 ‘지금껏 참고 살았는데 이 나이에 무슨 이혼이냐’며 남은 생의 행복을 스스로 포기했다. 하지만 기대수명이 길어지면서 남은 인생을 어떻게 보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늘고 있다.

노년 부부의 이혼은 사회적 평판, 유산 상속 등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혼 대신 각자의 삶을 사는 졸혼이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해혼, 휴혼 등 다양한 결혼 관계가 모색되고 있다며 결혼 생활에 있어 선택지가 늘어나는 것은 긍정적인 현상이라고 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