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와 3월 기준 출생아 수가 또다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합계출산율 역시 1분기 기준으로 가장 낮았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3월 인구동향’을 보면 1분기 출생아 수는 8만3100명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6800명(-7.6%) 감소했다. 1분기 기준으로는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8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3월만 놓고 보면 2만7100명으로 전년 대비 2900명(-9.7%) 줄었다. 출생아 수가 3만명대를 밑돈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부터 40개월째 감소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1분기 합계 출산율도 1.01명으로 지난해 1분기에 비해 0.07명 감소했다. 합계출산율이란 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의미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평균 합계 출산율은 2016년 기준 1.68명이었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평균 합계 출산율 0.98명을 기록해 OECD 회원국 중에서 유일하게 1명을 넘기지 못했다.
출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혼인 건수도 감소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1분기 혼인 건수는 5만 9100건으로 지난해 1분기에 비해 7100건(-10.7%) 감소했다. 특히 2019년 3월 혼인 건수는 1만 9600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200건(-14%) 감소했다. 반면 2019년 1분기 이혼 건수는 2만 700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00건(5.1%) 증가했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시계열상 연초가 연말보다는 출생아 수가 많은 편”이라면서도 “30대 초반 여성 인구의 감소 폭이 컸던 2017년과 비교하면 감소세가 다소 완화되긴 했지만 1분기 기준으로 볼 때 역대 가장 낮은 수준이라 저출산이라는 큰 흐름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박준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