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정부, “댐 붕괴 막을 수 있었다” 결론

입력 2019-05-29 11:37 수정 2019-05-29 13:42
뉴시스

지난해 7월 라오스 남동부 아타프주에서 발생한 댐 붕괴 사고에 대한 라오스 정부의 공식 조사결과가 나왔다. 붕괴 사고가 일어난 댐은 SK건설이 시공 중이었으며, 사고로 인해 100여명이 숨지거나 실종됐고 600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라오스 국영통신 KPL은 28일(현지시간) 라오스 정부가 수력발전용 댐인 세피안-세남노니 댐의 보조댐 일부가 붕괴된 이유를 댐 기초 지반을 구성하는 토사층에 누수가 발생하면서 제 기능을 못 했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전했다. 보조댐의 기초 지반에 침식이 용이한 토사층이 존재했고, 해당 토사층에 작은 물길이 형성되면서 지반의 침식과 약화가 진행됨에 따라 보조댐의 균형이 무너졌다는 것이다.

라오스 국가조사위원회는 독립전문가위원회(IEP)의 조사결과를 인용해 “적절한 조처로 막을 수 있었던 붕괴사고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밝혔다. 이는 라오스 정부가 공식적으로 댐 붕괴 사고를 SK건설의 시공부실 때문이라고 규정한 것이다.

이에 SK건설은 즉각 반박에 나섰다. SK건설은 “현지 언론 기사에 과학적, 공학적 근거가 결여돼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며 “누수로 인해 댐이 붕괴된 것이라면 사고 전 댐 하단부에 대량의 토사 유출이 목격됐어야 했는데 그러한 사실이 없다”고 지적했다.

또 “세계 유수의 엔지니어링 업체들도 모두 IEP가 밝힌 사고원인과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다”며 “IEP가 자체적으로 자신들이 지정한 위치, 방법론, 제3의 분석기관을 통하여 토질 분석을 실시했다는 점에서 붕괴 사고의 원인 조사와 검증이 객관적이고 공정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SK건설은 사고 후 “이례적으로 퍼부었던 호우 때문에 강이 범람하면서 불가항력적으로 보조 댐 상부가 유실된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강태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