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생명과학의 골관절염 유전자 치료제 인보사케이주(이하 인보사)가 허가취소되면서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를 향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의 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는 29일 KBS1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어제 기자회견을 들어보니 식약처가 무엇을 잘못했고 어떤 책임을 져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었다.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주무 부처인데 이렇게 무책임한가’라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가습기 살균제 사태와 유사한 사건이다. 식약처가 대국민 사과를 해야 했다”고 말했다. 식약처는 기자회견에서 사과 없이 코오롱생명과학에 대한 형사고발 의지만 밝혔다.
윤 원내대표는 코오롱생명과학뿐만 아니라 식약처도 수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코오롱, 식약처의 허가과정, 국고지원 경위에 대한 성역 없는 수사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며 “인보사 허가로 이익을 얻은 사람들, 관련 공무원, 기업인, 연구진 다 포함해야 한다.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직자와 연구 과정에 참여한 연구자들도 책임 소재를 따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28일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 출연한 김병수 성공회대 과학기술학과 교수는 “의약품과 의약 기술의 인허가 기간을 더욱 단축하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말이 현실화한다면 제2의 인보사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 교수는 “지난번 바이오 헬스 산업 관련 정부 발표를 보면 인보사 같은 바이오 의약품의 경우에는 임상의 3상을 면제하고 시판 후에 관리하겠다는 내용이 들어있다”며 “많은 환자가 상당히 검증받지 못한 치료제의 실험대상이 되고 심지어는 돈도 내야 된다. 기업이 돈을 내야 되는 임상을 환자의 부담으로 떠넘기겠다는 것이다. 환자 비용이 증가하고 검증되지 않은 의약품을 투여할 가능성이 있는 방향으로 정책들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준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