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숙 전 유엔 대사와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이 최근 불거진 강효상 자유한국당 의원의 한미정상 간 통화내용 유출 논란에 따끔한 일침을 가했다.
김 전 대사는 27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 진행한 전화인터뷰에서 “국가 외교 안보 업무를 다루는 재외 공관의 중견 외교관이 3급 비밀로 분류된 비밀 사항을 외부, 그것도 정치인과 공유했다”며 “이 사건은 국가 보안 업무 규정에 위배된다. 절차를 거쳐서 책임을 물어야 할 사안”이라고 총평했다.
그러면서 “의도적이든 자연스럽게 얘기했든 의도나 과정은 별로 중요치 않다. 결과가 중요하다”며 “기강 해이이거나 보안 의식이 굉장히 약해진 거다. 치명적인 잘못을 저지른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북한에 보수적인 시각을 가진 외교관들이 대북 정책에 불만을 품고 의도적으로 기밀을 유출한 것 아니냐’는 세간의 추측에 대해서는 “내부적인 반발을 목적으로 기밀을 유출했다면 큰일”이라며 “일반인들이 그렇게까지 생각하게끔 만들어놓은 외교부의 기강 해이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 전 대사는 그러면서 “강 의원이 후배의 경력을 완전히 망가뜨렸다”며 “모든 사람이 내가 한 일이 어떤 결과를 가지고 왔는지 반성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윤 전 장관도 이날 KBS1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정상 간 대화 내용이 상급 비밀로 분류돼있다는 사실을 알 텐데 고참 외교관이 아무렇지도 않게 유출했다. 외교부의 공직기강이 어느 정도이길래 이런 일이 벌어지는지 어처구니가 없다”며 “강 의원의 폭로도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으로서 상식에 벗어난 일을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강 의원에게 통화 내용을 유출한 주미대사관 A씨는 지난 26일 입국했다. 외교부는 27일부터 A씨 징계 절차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의도가 없이 기밀을 대외적으로 유출했다고 보기 어렵다. 엄중한 문책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 의원에 대한 수사도 시작된다. 지난 24일 더불어민주당의 고발을 접수한 서울중앙지검은 27일 강 의원의 기밀 누출 사건을 공안1부(양중진 부장검사)에 배당했다고 밝혔다. 강 의원이 외교상 기밀을 누설했는지, 누설할 목적으로 외교상 기밀을 탐지하거나 수집했는지가 수사 대상이 될 전망이다.
박준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