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원구가 ‘아동·청소년 친화도시’를 만들기 위해 133억원을 투입해 102개 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아동·청소년 보호와 권리를 획기적으로 강화한다.
노원구는 “초·중·고교가 94개교 있고 학생 6만8500여명이 다니고 있어 전국에서 아동·청소년 숫자가 가장 많다”며 “기초자치단체 중 최초로 ‘아동호보 전문기관’을 개원한데 이어 오는 7월에 ‘학대 피해아동 쉼터’를 연다”고 27일 밝혔다.
아동보호 전문기관에선 아동 학대 신고를 접수하고 피해 아동과 학대 행위자를 대상으로 상담이나 교육, 심리치료 등을 지원한다. 쉼터까지 문을 열면 더욱 촘촘한 아동보호 체계가 구축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노원구는 또 학교밖 청소년 지원과 대안교육기관 운영을 담당할 ‘청소년 상담복지센터’를 9월 착공해 내년까지 완공한다.
‘아동·청소년 권리 옴부즈퍼슨’ 제도도 새로 도입한다. 아동·청소년 권리 옴부즈퍼슨은 노원구 홈페이지에 접수된 아동·청소년의 인권이나 권리 피해 사례들을 조사하고 아동보호전문기관, 교육지원청, 경찰서 등과 협조해 해결 방안을 마련한다.
노원구는 아이들의 놀이와 여가환경 조성에도 집중 투자한다. 월계동 인덕지하보도에 미니극장, 강의실, 유튜브 방송실 등을 갖춘 청소년 시설을 연말까지 만든다. 청소년을 위한 실내놀이터도 현재 2곳에서 2022년 5곳으로 늘린다.
이밖에도 청소년들이 기획하는 축제를 구청에서 열고, 스포츠 축제도 개최하기로 했다. 아동·청소년들이 사업을 직접 제안하고 예산도 집행하도록 ‘참여위원회’와 ‘참여예산제’도 시행한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아이들이 행복해야 부모들도 행복해질 수 있다”면서 “아이들이 밝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이 시기를 일생에서 가장 행복한 시기로 느낄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