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 11.15지진 범시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는 정부가 추진 중인 이산화탄소(CO₂)저장시설의 폐쇄와 원상복구를 요구하고 나섰다.
27일 범대위는 “지난 24일 ‘포항 영일만 CO₂저장실증 연구와 2017 포항지진 관련성 조사연구단’이 발표한 포항지진과 이산화탄소 실증사업 간의 연관성에 대한 조사는 단순 11.15지진과의 연관성에 대한 조사일 뿐”이라며 “향후 일어날 수 있는 지진유발과 심각한 환경오염, 누출시 질식사까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며 반발했다.
이어 “조사연구단은 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시설(CCS) 프로젝트와 2017년 11월 15일 규모 5.4 포항지진의 관련성을 보여주는 증거는 이번 조사를 통해서 나타나지 않았다고 발표했지만, 학계에서는 CCS의 위험성에 대해 이미 여러 차례 경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범대위는 조지메이슨대 엘리자베스 박사가 발표한 ‘CCS는 지진유발, 수질오염, 환경피해, 질식사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과학적 연구보다 탄소격리의 위험성에 대해 대중들에게 알려야 한다’는 내용의 논문과 서울대학교 김준모 교수도 지표유출에 의한 인간과 생태계 위협, 지하수 자원 고갈, 토양 및 지하수 오염, 지반 융기 및 지진 유도 등의 위험성을 경고한 바 있다고 반박했다.
또 미국 스탠퍼드대 마크 조백(Mark D. Zoback) 교수 연구진과 육군사관학교 오경두 교수, 김창섭 가천대 교수 등의 주장을 예로 들며 이번 조사결과를 수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범대위 관계자는 “최근 동해안 해저에서 4.0 이상의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지진발생에 따른 주민불안 해소를 위해 검증되지 않은 실증사업인 CCS시설에 대해 시민의 안전이 최우선이 돼야 한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시민 수용성 없이 추진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시설을 즉시 폐쇄조치 하고 반드시 원상복구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