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산하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지난해 내놓은 전망치인 2.6%보다 0.2% 포인트 낮은 2.4%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전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경제성장률을 0.2%포인트 내린 데 이어 국책연구기관까지 낮춰 잡은 것이다. 정부 목표치이자 잠재 성장률인 2.6~2.7%와 비교해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KDI는 ‘기준금리 인하를 고려하라'고도 했다. 경기가 지금보다 더 나빠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KDI는 22일 ‘2019년 상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하고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6%에서 2.4%로 수정했다.
KDI는 올 초 경제 상황을 반영하면 올해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인 2.6~2.7%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보다 세계 경제 성장세가 둔화하면서 우리나라 경제 성장을 이끄는 수출도 부진을 이어나갈 가능성이 커졌다며 하향 조정 이유를 밝혔다.
KDI는 또 금리 인하 등 적극적인 통화정책도 요청했다. 이날 김현욱 KDI 경제전망실장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최근 경제 상황을 판단해봤을 때 다양한 위험요인이 산재해있다”며 “올 2분기 경제성장률이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하거나 그런 조짐이 보일 경우 금리 인하를 포함한 통화정책에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KDI는 지난해 11월 ‘2018년 하반기 경제 전망'을 발표하며 당시 1.5%(현재 1.75%)였던 기준금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하지만 최근 금리가 0.25%포인트 오르자 통화 완화를 요구한 것이다.
김 실장은 “(한국은행이 금리 인상 여부를 고민하던) 지난해 11월에는 상황을 더 지켜본 뒤 판단하는 게 좋겠다고 제안한 것"이라면서 "이번에는 경제성장률이 더 낮아지는 상황이 되면 금리를 한 번쯤 낮출 수 있지 않겠느냐 정도의 제안"이라고 설명했다.
재정정책 역시 확장적인 기조로 운용할 것을 주문했다. 대규모 부양 조치가 필요한 상황은 아니지만 세계 경제의 하방 위험이 심화함에 따라 한국 경기가 더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민간에 경기 완충력을 제공하는 차원에서 단기적인 거시경제정책 기조를 확장적으로 유지해야 한다고도 했다.
다만 물가 상승 가능성은 적을 것으로 봤다. KDI는 보고서에서 "공급자 측 물가 상승 압력이 낮게 유지되고 기대 인플레이션(경제 주체가 예상하는 미래의 물가 상승률)이 점차 하락하고 있다"며 "한국 경제의 성장세도 둔화함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