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공공건축 혁신 위한 ‘공공건축가제도’ 시행

입력 2019-05-21 15:18
경남도는 민선 7기 도정 핵심과제로 공공건축의 혁신방안 마련을 위해 ‘총괄·공공건축가 제도’를 도입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제도는 특별·광역시와 달리 광역도 단위에서는 경남도가 최초로 시행하는 것으로 기초 지자체로의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그동안 공공건축물은 행정기관 주도로 건립되고 행정기관 여러 부서가 소관 시설별로 사업을 각각 추진해 디자인 부조화와 기능 연계 부족 등으로 주민들이 큰 불편이 겪어왔다.

이에 따라 경남도는 공공건축물 사업 초기단계인 기획·설계부터 민간의 전문성을 적극 활용해 행정기관의 전문성을 보완하고, 도시 전체를 바라보는 통합적 시각에서 지역 내 개별 공공건축물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총괄건축가 및 공공건축가를 위촉해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도는 초대 ‘총괄건축가’로 건축사사무소 ‘기오헌’ 대표인 민현식 건축가를 위촉했다.

총괄건축가는 경남도에서 추진하는 건축·도시·디자인 관련 정책수립 자문과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공간환경 개선사업의 기획·자문과 추진 부서 간 상호 연계협력 관리 등 경남도가 추진하는 주요사업 전반에 대해 총괄기획 및 자문역할을 수행한다.

도는 개별 공공건축의 자문과 디자인·기획·설계 등을 담당할 민간전문가(건축가 등) 25명을‘공공건축가’로 선정해 다음 달 위촉식을 가질 예정이다. 공공건축가는 개별 공공건축사업의 기획,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에 이르는 사업 전 과정에 민간전문가로 참여해 공공건축물의 품질과 품격을 높이고 도시 환경을 개선해 도시 경쟁력과 도시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박환기 도 도시교통국장은 “총괄·공공건축가 제도를 통해 도내 공공건축물에 지역 특성을 적극 반영해 경남건축의 정체성을 확립할 것”이라며 “사람 중심의 사회적 가치 발현과 디자인 품격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