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중 무역갈등 심화와 관련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이전보다 훨씬 더 심각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홍 부총리는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제205차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양국이 서로 수천억 달러 규모의 제품에 대해 관세를 인상하고 각종 보복 조치를 예고하는 등 무역갈등이 심화되고 있다”며 “정부는 무역갈등이 조속히 해결되기를 희망하나 동시에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 어떤 상황에서도 우리 경제에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총력을 경주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미국은 지난 10일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을 발표했다. 이에 중국도 다음 달부터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제품에 5~25% 수준의 보복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나섰다. 중국과 미국은 한국 수출 비중에서 각각 26.8%, 12.1%를 차지하는 수출 1, 2위 상대국이다.
홍 부총리는 금융시장에 대해 “주가·환율 등 금융시장 가격변수의 변동 폭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지나친 쏠림현상 등으로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우 적절한 안정조치를 통해 시장안정을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도 했다.
수출에 대해서는 “5월부터 해외수입자 특별보증, 매출채권 조기 현금화 등 신규 무역금융 5000억원 및 수출마케팅 지원확대 등 단기 지원을 개시하겠다”며 “다음 달 중 소비재와 디지털 무역, 서비스업 등 후속대책도 마련하겠다”고 언급했다.
홍 부총리는 국회에 제출된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통과를 강조하기도 했다. 홍 부총리는 “추경안에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한 무역금융 2640억원 확대, 수출마케팅 343억원, 해외수주 250억원 확대 등 1조1000억원의 수출·내수보강 사업이 반영돼 있다”며 “어려운 수출 기업을 고려해 하루라도 빨리 추경이 확정돼 지원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홍 부총리는 또 미국이 수입 자동차 관세부과에 대한 최종결정을 최장 180일 연기한 것에 대해 “정부는 미국과의 아웃리치(접촉) 활동을 강화해 한국이 관세부과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강태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