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3기 신도시 추가 지정에 반대하며 경기도 일산·운정 신도시 등 1·2기 신도시 주민들이 지난 18일 오후 고양시 일산서구 주엽동 주엽공원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에는 일산신도시 연합회, 운정신도시 연합회, 검단신도시 연합회, 수도권 3기신도시 연합회 등 3기신도시를 반대하는 주민 1만여명(주최 측 추산)이 참여했다.
이들은 ‘3기 신도시 OUT’ ‘김현미 OUT’ ‘이재준 OUT’ 등 피켓과 현수막을 동원해 정부가 3기 신도시로 추가 지정한 고양시 창릉지구 등의 신도시 지정 백지화를 촉구했다. 창릉지구가 지난해 도면이 유출된 후보지와 3분의 2 가량 겹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하며 신도시 조성계획을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일산신도시 연합회 관계자는 “서울의 집 값을 잡기 위해 내세운 정책들로 경기도민들만 피해를 겪고 있다”며 “1·2기 신도시에 제대로 된 교통대책도 마련하지 않고 서울과 가까운 곳에 신도시를 지정하면 1·2기 신도시는 슬럼화 될 것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김현미 국토부 장관의 지역구인 일산서구 지역의 최근 아파트 시세는 전국 최고 수준의 낙폭을 기록하고 있다”면서 “동의도 구하지 않고 일방적인 신도시 추가 지정에 대해 주민들은 분노하고 있다. 당장 3기 신도시 추가 지정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산신도시 연합회는 이날 집회 장소 섭외와 3기 신도시 반대 집회 관련 현수막 수거에 대한 고양시의 대응에 대해 지적하기도 했다.
연합회 관계자는 “집회를 위해 호수공원과 정발산역에 자리잡은 미관광장(일산문화공원)을 대여하려 했지만 이뤄지지 못했다”면서 “미관광장은 광화문 광장보다 넓은 6만여㎡지만 시청은 이미 다른 행사가 준비돼 있다는 핑계를 대며 행사 후 집회 허가를 해주겠다는 등 사실상 거부의사를 밝힌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주민들이 3기 신도시 반대 집회 관련 현수막을 제작해 아파트 단지 내 게시했는데 고양시청이 즉각 공문을 보내 과태료를 징수하겠다고 밝혔고 일부 현수막은 철거해 주민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며 “일전에 대곡~소사선 관련 현수막은 수개월이 지나도록 붙어있는 것과 대조적”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집회는 김현미 국토부 장관의 지역구 사무실이 있는 곳까지 가두행진을 벌이고 해산했다. 엽합회는 오는 25일 인천시 서구 당하동 어린이공원 내 공터에서 3차 집회를 개최할 방침이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