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학교 내 유휴 공간 개방에 찬성했다. 학생 수 감소에 따른 학교 내 유휴공간을 학생과 지역주민 공동의 공간으로 활용하자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경기연구원은 19일 학령인구 감소와 학교 내 유휴공간 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폐교 및 학교 내 유휴공간에 대한 경기도민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학교 내 유휴시설 이용 활성화 방향을 제안한 ‘늘어가는 유휴교실-학생과 주민의 공간으로!’ 보고서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경기도민 1500명을 대상으로 폐교 및 학교 내 유휴시설에 대한 인식 조사했다.
그 결과 “폐교 및 학교 내 유휴시설을 지역사회에 개방하는 것”에 93.2%가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폐교 및 학교 내 유휴시설의 결정 주체”로는 “지역주민”이라는 응답이 49.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대 응답자의 경우는 학생(37.7%)과 지역주민(37.7%)로 공통적으로 높게 조사됐다.
또 향후 폐교 또는 학교 내 유휴시설이 활용될 경우 응답자의 66.9%가 “이용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실제로 경기도교육청은 지난해부터 학교 내 유휴공간을 학생, 교사, 지역주민들의 열린 공간으로 활용하는 예술공감터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하남시 미사중학교의 ‘미사 아티움’과 의정부시 부용고등학교의 ‘우리누리’가 개관해 문화예술체험활동, 학생 자율동아리 활동, 공연장, 지역주민 열린 공간 등 복합 문화시설로 활용되고 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 학령인구는 2015년 616만여 명에서 2045년 448만여 명으로 약 27.3% 감소할 예정이다.
경기도의 학령인구 역시 2015년 163만여 명에서 2045년 131만여 명으로 19.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김성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폐교 및 학교 내 유휴공간은 학생들만의 전유공간도 지역주민만의 전유공간도 아니다”며 “경기도교육청 예술공감터 사업 사례에서와 같이 학생, 교사, 지역주민이 참여한 협의회를 통해 아이디어를 모으고 사업을 추진해 모두가 공간 이용 주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