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무장세력에 피랍됐던 한국인 주모(62)씨가 315일 만에 석방된 가운데 주무 부처인 외교부가 아닌 청와대가 석방 소식을 발표한 것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관심을 가지고 피랍 국민의 무사 귀환을 추진해왔고, 국민적 관심이 높은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17일 “주씨 석방은 우리 정부가 지난해 7월 주씨가 납치됐던 순간부터 특히 문 대통령이 가장 큰 관심을 갖고 계속 조기석방을 추진해온 사안”이라며 “문 대통령이 문제 해결을 위해 여러 나라와 협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2월 방한한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UAE) 왕세제에게도 피랍 국민 석방에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리비아 부족 사회와 UAE 간의 긴밀한 관계를 활용해 주씨의 신변을 확보해달라는 요청이었다.
정부는 주씨가 납치되고 난 직후 청해부대 문무대왕함을 현지에 파견했다. 피랍 8일 만에 문무대왕함이 현지에 도착했고 8월 중순 왕건함과 교체했다. 이후 해군 등은 4개월가량 리비아 앞바다에서 상주하며 주씨의 안전을 위해 활동했다. 정 실장은 “한분의 생명을 구한 것이지만 우리 정부, 외교의 가장 큰 목적 중의 하나는 사람의 목숨을 구하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주씨의 석방으로 지난해 8월 청와대가 발표한 관련 논평도 다시 회자되고 있다. 김의겸 당시 청와대 대변인 명의로 나온 논평에서 청와대는 “그의 조국과 그의 대통령은 결코 그를 잊은 적이 없다”며 “정부는 사건 발생 직후부터 지금까지 그의 안전과 귀환을 위해 리비아 정부 및 필리핀 미국 등 우방국들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를 납치한 무장단체에 대한 정보라면 사막의 침묵에도 귀를 기울이고 있다”며 “하지만 정부의 노력을 믿고 그가 건강하게 돌아오기를 빌어주시기 바란다”고 남긴 바 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