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과 한국독성학회가 유해물질이 포함된 발명에 대한 특허 심사 전문성 강화에 나선다.
특허청은 16일 오전11시 서울대 삼성컨벤션센터에서 한국독성학회와 ‘유해물질 정보 교류 및 독성분야 연구자의 지재권 역량제고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공중위생을 해칠 우려가 있는 발명에 대한 특허 심사 전문성을 강화하고 독성학 연구자의 발명 보호·지재권 역량 강화에 힘을 모은다.
이에 따라 실무협의회를 통해 유해물질에 관한 전문 자료, 지식재산권 관련 정보 등을 교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독성·환경을 연구하는 전문학회인 한국독성학회는 독성학 연구를 비롯해 식품·의약품 및 환경오염 물질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병훈 한국독성학회 회장은 “한국독성학회는 그동안 독성연구를 통한 사회안전망 구축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화학물질 독성연구 결과가 특허행정의 전문성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원주 특허청장은 “독성물질의 위해성에 관한 전문지식이 특허심사 품질을 높이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며 “한국독성학회 회원들에게도 지식재산권 심포지엄, 세미나 등 다양한 특허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