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양우 문체부 장관, “근로자 휴가지원 사업 2년 뒤 확대 또는 수정 결정”

입력 2019-05-14 15:51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4일 ‘근로자 휴가지원 사업’과 관련 “2년 정도 시행한 뒤 점검을 통해 비용 대비 효과가 있다면 확대할 생각이지만 기대만큼 되지 않는다면 수정돼야 한다고 본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이날 서울 중구 소재 한 식당에서 관광 담당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총괄적인 관광 정책을 편다는 것은 만만한 작업이 아니지만, 현장 수요에 부응하는 실효적인 정책을 추진하겠다”며 “관광은 20∼30개 좁은 의미 산업이 합쳐진 복합산업으로, 현장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관광 정책은 사실상 실패”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민소득 증가와 주 5일제 근무,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국내 관광 규모가 훨씬 커졌다”며 “과거보다 성장하고, 전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관광산업은 녹색불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박 장관은 또 “지역관광과 관련,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느냐의 문제에선 일본 등 다른 나라에 비교해 갈 길이 멀다”면서도 “한한령(限韓令·한류제한령) 등 많은 어려움에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관광 진흥) 의지가 크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역 주민 의식과 고유한 콘텐츠가 중요한데 중앙정부가 획일적으로 계획을 세우는 것보다 각 지역이 자발적으로 관광상품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며 지방자치단체의 자발적 참여를 주문했다.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관광 벤처에 대해서는 “아직은 초기단계이지만 관광에도 펀드를 마련해서 직접 지원하는 것 이외에도 투자를 받아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며 “세계적으로 거의 없는 우리만의 특별한 제도”라고 소개했다.
그는 관광산업 진흥을 위한 현안으로 외래 방한객 유치, 국내 관광 활성화를 통한 내수 진작, 도시·지역관광 활성화, 특성화 관광 등 새로운 콘텐츠 개발, 4차산업혁명에 맞는 관광상품 접목·융합 등을 꼽았다.
남호철 여행전문기자 hc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