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버스 파업 돌입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반을 가동해 투입 가능한 모든 교통수단을 총동원한다고 14일 밝혔다. 서울시는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초·중·고등학교와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에 등·하교 출근 시간을 1시간 조정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비상수송대책이 시행되면 서울지하철은 1일 총 186회 증회 운행하고 막차시간은 1시간 연장돼 종착역 기준 오전 2시까지 운행하게 된다. 또 택시부제를 해제해 하루 평균 1만3500대를 추가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마을버스는 예비차량을 최대한 투입하고 첫차와 막차 시간을 앞 뒤로 30분씩 연장한다. 자치구도 관공서 버스와 전세버스 등을 확보해 운행률 저하로 일부구간 운행이 중단되는 노선을 중심으로 무료 셔틀버스를 운영하게 된다.
서울시는 파업에 참가할 경우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적용해 엄격히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버스회사 운행률이 낮을 경우에는 시내버스 평가에 감점을 부여하고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정상운행에 동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 서울지방경찰청과 협조해 불법쟁의에는 엄격히 대처하고 버스회사별로 경찰을 파견해 복귀인력을 보호하기로 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