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당이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된 선거제 개편안의 수정을 시사했다. 의원 정수를 늘리는 대신 국회 관련 예산을 줄이자는 것이 주장의 핵심이다.
민평당 신임 원내대표로 선출된 유성엽 의원은 13일 정견 발표에서 “반쪽짜리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목맬 문제가 아니다”라며 “완벽한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끌어가는 것이 중요하지 호남에서 7석의 지역구 축소가 불가피한 반쪽짜리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절대 반대한다”고 말했다.
유 원내대표는 당선 직후 기자간담회에서도 “비용을 동결하고 의석수를 늘리는 게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며 “그게 이뤄지지 않으면 반쪽짜리 연동형은 처리해서는 안된다. 지금 안 대로 표결된다면 부결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대한 각 당 합의를 이끌어내서 의석수를 316석이나 317석으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동영 민평당 대표도 이날 KBS1 ‘오태훈의 시사본부’에 출연해 “야3당은 지역구 의석 축소에 반대했고 의원정수 확대를 국민께 당당하게 설명하자고 주장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이 300명을 고수했다”며 “현재 지역구 253석을 유지하고, 비례대표를 증원해서 353명으로 선거제도 개혁을 한다는 것이 당론이었다. 협상 테이블이 열리게 되면 수정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의원 정수를 늘리는 것에 여론이 상당히 반대한다’는 진행자의 말에 정 대표는 “국회의원 숫자는 10% 늘리고, 국회 예산은 10% 정도 줄이면 국민께서 용인하지 않겠느냐. 국회의원 세비 등 특권을 줄이고 의원 숫자를 늘리는 건 설득력이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박준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