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호 전 영국 주재 북한 공사는 13일 “지난 한 주 북한 동향을 살펴보면 북한을 둘러싼 대외 환경에 대한 김정은(국무위원장)의 좌절감이 점차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태 전 공사는 이날 자신의 블로그 ‘태영호의 남북동행포럼’ 글을 통해 북한이 최근 문재인정부에 대한 비난을 강화하고 있고, 북·러 정상회담에서도 뚜렷한 성과를 얻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북한은 정상적인 화력타격훈련이 남북군사합의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우리 군사당국을 성토했다”며 “대외선전매체 ‘조선의 오늘’은 우리 정부에 개성공단 재가동을 촉구했고, 대남선전매체 ‘메아리’는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식량지원에 ‘생색내기 하지 말라’고 비난했다”고 적었다.
이어 “특히 우리 정부에 동족에 대한 ‘예의’를 갖추라고 한 것은 식량을 줄거면 빨리 주면 되는 것이지 시간만 끌면서 준다고 소문만 내 북한을 약자로, 남한을 강자로 보이게 하는 구도를 만들지 말라는 것이다. 식량을 받아도 당당히 폼 있게 받게 해달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메아리’는 12일 “주변환경에 얽매여 (남북 정상 간) 선언 이행의 근본적 문제들을 뒷전에 밀어놓고 그 무슨 계획이니 인도주의니 하며 공허한 말치레와 생색내기나 하는 것은 남북관계의 새 역사를 써나가려는 겨레의 지향과 염원에 대한 우롱”이라고 비난했다. 하지만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13일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북측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닌 것에 대해 대응하기 조금 어려울 것 같다”며 정부의 대북 식량지원 방침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태 전 공사는 북한이 지난 4일 강원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지난 9일 평안북도 구성 지역에서 잇따라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군사행보를 강화한 것은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도 좋지 않다는 방증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북·러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해 함께 노력한다고 약속했으므로 김정은의 군사적 행보가 한동안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했다”며 “하지만 러시아 방문 후 오히려 군사행보가 늘어나고 있는 건 김정은이 러시아 방문을 통해 뚜렷한 결과물을 얻어내지 못했다는 걸 보여준다”고 썼다.
그러면서 “김정은이 지난 1월 시진핑(중국 국가주석)을 찾아갔을 때 시진핑이 북·중 관계설정 70주년인 올해 중으로 북한 방문을 약속했고, 최근 평양 주민들 속에서도 시 주석이 상반기 안에 방문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며 “하지만 최근에는 이런 소문이 없어졌다고 한다”고 덧붙였다.
태 전 공사는 “상황이 바라던 대로 흘러가지 않으면 북한 내부에서 정책실패의 책임을 묻는 희생양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커져 부서마다 강경한 모습을 보여주는 식으로 과잉충성을 할 것”이라며 “그러면 김정은으로서도 내부의 이런 흐름에 떠밀려 군사적 행보를 계속 이어나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결국 올해 상반년 안에는 북미 비핵화협상이나 남북대화 실마리를 찾기 힘들게 돼 있다”고 적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