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이 미국과의 연대를 무기로 과거 아랍권으로부터 빼앗았던 영토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골란고원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딴 정착촌을 짓기로 결정했다. 이런 상황에서 친이스라엘 정책을 펴고 있는 트럼프 행정부가 요르단강 서안 정착촌마저 이스라엘에 내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12일(현지시간) 열린 내각회의에서 골란고원에 지을 새 정착촌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붙일 예정이라고 밝혔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예루살렘 구 시가지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을 딴 열차 정류장도 생긴다.
네타냐후 총리는 지난달 23일에도 정착촌에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을 붙이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을 붙인 정착촌을 건설해 감사를 표시하겠다는 것이 이유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이스라엘의 골란고원 주권을 인정토록 한 포고령에 서명했다. 네타냐후 총리가 이를 ‘역사적 결정’이라고 추켜세웠다.
이스라엘은 1967년 ‘6일 전쟁’에서 승리해 시리아로부터 골란고원을 빼앗았다. 이어 골란 고원에 33개의 정착촌을 건설해 이스라엘 국민 2만여명을 이주시켰다. 하지만 국제사회는 전쟁에서 빼앗은 영토에 정착하는 것은 불법이라며 이스라엘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포고령은 국제사회 입장에 정면으로 반발한 것이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요르단강 서안지구 정착촌에 대한 이스라엘 주권도 인정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분쟁 해결을 중재하기 위해 준비한 중동평화계획안에 이스라엘의 서안 주권을 인정하는 안도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이스라엘 채널12가 전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지난달 총선에 앞서 선거에서 승리하면 서안 정착촌마저 이스라엘 영토로 병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스라엘의 서안 주권 인정 방침이 중동평화계획안에 반영될 경우 아랍권의 강력한 반발이 예상된다. 아랍권 국제기구인 아랍연맹은 지난 3월 트럼프 대통령이 이스라엘의 골란고원 주권을 인정한 데 집단 반발했었다. 미국 역대 행정부는 이런 점을 우려해 중동 내 균형을 지켜왔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 들어서 노골적인 친이스라엘 정책으로 갈등을 부추겼다.
이스라엘 내에서도 우려가 나온다. 가디 아이젠콧 전 이스라엘방위군 참모총장은 이스라엘 채널13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이스라엘에 편향된 중동평화계획안을 내놓으면 팔레스타인이 집단 반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