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꿀을 생산할 수 있는 밀원수(蜜源樹)를 전국 국유림에 매년 150㏊씩 조림한다.
13일 산림청에 따르면 이번 정책은 양봉농가에 필요한 수종인 아까시나무 위주로 추진된다.
산림청은 밀원수 조림 시 최소 2㏊ 이상으로 집단화 해 경제성을 높이는 한편 고정양봉·이동양봉의 채밀 경쟁 방지를 위해 조림지를 분산한다.
또 양봉산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현재 선정된 25종의 밀원수를 요구도가 높은 수종으로 변경해 양묘할 계획이다.
현재 25종의 밀원수종에는 아까시나무와 헛개나무, 밤나무, 쉬나무, 벚나무(산벚), 산초나무, 황칠나무 등이 포함돼 있다.
이와 함께 공유림과 사유림에도 밀원수 조림이 확대될 전망이다.
산림청은 각 지자체별 경제림 조성 사업비의 10% 내에서 밀원수 조림을 포함한 산주소득사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 밀원수이면서 단기소득을 올릴 수 있는 헛개나무, 밤나무, 황칠나무 등을 적극 권장하고 산주나 양봉농가가 밀원수를 조림할 때 조림비의 90%를 지원한다.
한창술 산림청 산림자원과장은 “목재 생산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소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산림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