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은 북한이 9일 발사한 단거리 미사일이 신형 무기 체계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쏜 미사일은 남한 전역을 사정권으로 두는 무기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은 10일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보고에서 “북한이 쏜 미사일 분석이 늦게 된 이유는 신형 무기체계일 가능성 때문”이라고 보고했다. 이날 보고 자리에는 국회 정보위원장인 이혜훈 바른미래당 의원과 정보위 간사인 김민기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은재 자유한국당 의원이 참석했다.
이 의원은 브리핑을 통해 “국정원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이유를 한미연합연습, 우리 군의 첨단무기도입발표에 대한 반발, 우리 국민들의 안보 불안감 조성 및 내부 갈등 조장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우리 국방부에서 (지난 4일)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는 9·19 군사합의 취지에 어긋나는 일이라고 발표한 것에 대한 반발의 의미도 있다”고 덧붙였다.
북 미사일이 탄도미사일인지 여부는 “4일 미사일에 대한 분석도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어떤 종류의 미사일인지 아직 분석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미국 측에서 북 미사일이 탄도미사일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상황에 대해서는 국정원이 ‘미국의 공식 입장이 아니다’고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위원장은 “국정원은 9일 북 미사일이 과거와는 다른 패턴을 보이는 신형 무기라고 보고했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지는 밝히지 않았다”며 “이는 합동참모본부의 분석”이라고 설명했다. 다연장포 발사에 대해서는 “총 몇 발을 발사했는지 보고 받지 않았다. 다만 단거리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240㎜ 다연장포, 신형 자주포로 추정된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발사체의 사정 범위에 대해서는 “‘일본까지는 아니지만 한국 전역은 사정권 안에 들어오는 무기인 것 같다. 우리 측도 북한 전역이 사정권에 들어오는 무기를 가지고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또 “국정원에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9·19 합의를 위반한 것인지 여부를 물었다”며 “조문에 미사일이 안 된다는 문구가 없어 문구 상으로만 따지면 위반이라 말하기 어렵지만, 적대적 행위의 전면 중단이라는 합의 취지는 위반했다는 것이 국정원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발사 추정 위치가 북한 신오리에서 구성으로 번복된 이유에 대해서는 국방부 측이 잘못을 시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