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간카르텔 유착수사 규탄시위’가 19일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청와대 사랑채에서 개최된다. 시위 주최 측은 “이제껏 여성들은 ‘그럴만해서 당했지’라는 피해자성 앞에서 무기력할 수밖에 없었다. 한국 사회는 ‘그러게 왜 그 시간에 밖에 있었어’ ‘너도 즐긴 거 아니야?’ ‘클럽 공짜로 갈 때는 좋아해 놓고 왜 난리야?’ ’그럴 줄 모르고 클럽 갔어?’라는 말들로 여성들의 피해 사실을 축소하고 은폐하고 심지어 그럴 만 해서 당했다고 폄하했다”며 “사회가 만들어놓은 이분법적인 피해자성 앞에 주눅 들어 주저앉아야 했던 여성들이 이제는 그 모든 것이 잘못돼있었던 것이라고 외친다”고 설명했다.
이어 “여성을 대상화하고 거래 가능한 재화로 보고 트로피로 삼아 유희거리로 여기고 분위기를 돋우는 장식품으로 생각하는 사회. 여성을 물화해 성희롱과 폭력을 일삼고 이에 동조하고 방관하고 묵인하고 용인하고 심지어 이해하는 구조. 여성들은 이를 ‘대한민국의 강간문화’라고 명명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대한민국의 강간문화는 비단 삐뚤어진 몇몇의 남성들에 의한 것이 아니다. 서열문화에 찌들어있는 남성들의 유기적 연대가 힘을 모아 이뤄낸 산물”이라며 “개인의 일탈이라던 여성 혐오는 사회 곳곳, 남성들이 삼삼 오오 모이는 곳 어디에서든 이루어졌다. 가진 자는 과시를 위해 범법 행위를 일삼았고 없는 자가 가지는 가진자들에 대한 동경은 지속적으로 강간문화를 양산하고 유지시켜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버닝썬 사태를 통해 빙산의 일각이 드러났을 뿐 유기적인 남성 연대는 연예인 꼬리 자르기를 통해 그 몸통을 숨기고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고자 온갖 갖은 수를 다 동원하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개인을 넘은 공권력이 강간문화를 수호하는데 앞장서고 있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고 말했다.
이들은 국민으로서 기본권을 보장받고자 행정기관에 ▲강간카르텔 유착과 관련한 검경 고위직 전수조사 ▲강간문화를 부추기는 미디어에 대한 강력 제재조치 ▲강간문화를 이루고 있는 유착형 성범죄에 대한 강력 처벌 등을 요구했다. 나아가 국가적인 강간문화 근절을 위해 대통령이 보다 확실한 의지를 가지고 의제 해결을 전면적으로 선포하기를 요구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