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은 생명과학과 신근유(사진) 교수팀이 서울대학교 비뇨의학과 구자현 교수팀·포스텍 생명과학과 김상욱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후성유전학적 조절을 통해 헷지혹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방광암 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고 암의 성질을 바꾸어 암 성장을 저해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고 9일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인 이라이프(elife)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방광암이 방광 내 성체 줄기세포의 유전적인 변형이 축적돼 발생하고 이 과정에서 ‘헷지혹(Hedgehog)’ 이란 신호전달체계가 중요한 역할을 함을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방광암 발생 시 헷지혹 유전자의 발현이 점차 사라지게 되는데 암이 완전히 진행된 단계에 도달하면 헷지혹 신호는 완전 소멸한다.
이번 연구에서 헷지혹이 완전히 사라지는 이유가 후성유전학적으로 소멸이 된다는 것을 밝혀내고 방광암 발생 시 헷지혹이 발현되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통해 방광암 초기 단계에서 암 생성을 완전히 저해시켰다.
또 성장이 진행된 방광암에서 후성유전학적으로 증가시킨 헷지혹 신호전달 체계가 방광암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전립선암, 대장암 등 다른 암으로 확장할 가능성도 확인했다.
신근유 교수는 “이 연구가 더 발전된다면 여러 암종에서 헷지혹이라는 신호전달 체계와 이를 조절하는 암 미세환경을 동시에 타깃으로 하는 새로운 표적 항암 치료법과 신약이 개발될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