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 특검’부터 ‘동물국회’까지, 홍영표의 지난 1년

입력 2019-05-07 17:41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년 간의 원내대표 임기를 7일 마무리했다. 그는 스스로 ‘70점’을 부여하면서 임기 동안의 소회를 아낌없이 풀어냈다.

홍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고별 기자간담회’에서 “대화와 타협을 통해 민주주의의 정신을 실천코자 노력했지만 돌이켜보니 뿌듯함보다는 아쉬움 더 많다”고 운을 뗐다. 그는 “특히 온 국민의 공분을 산 유치원 3법 처리와 5·18 진상조사위원회를 출범을 이루지 못한 것이 두고두고 아쉽다”며 유감을 표했다.

지난해 민주당 원내사령탑으로 선출된 홍 원내대표는 임기를 시작하자마자 단식 중이던 김성태 당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를 찾아가 ‘드루킹 특검’을 수용하면서 국회 정상화를 이끌어냈다. 하지만 사건 당사자인 김경수 경남지사가 1심에서 법정 구속되면서 일부 여권 지지자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홍 원내대표는 이날 당시 특검을 수용한 것에 대해 “한국당뿐만 아니라 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까지 특검을 요구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수용이) 불가피했다”면서 “제 판단은 그것이 사건이 될 수 없는 범주의 것이고, 특검 과정에서 실체적 진실이 드러나면 문제가 해결된다고 생각했지만, 예상처럼 되지 않았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예상했던 것과 전혀 다르게 흘러간 ‘사법의 정치화’의 대표적 사례가 아니었나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홍 원내대표의 임기 말, 여야 4당과 자유한국당은 선거법 개정안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검·경 수사권 조정법안을 패스트트랙(신속처리 안건)으로 지정하는 것을 두고 대치 국면에 돌입, 몸싸움을 벌이면서 ‘동물국회’가 재현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홍 원내대표는 우여곡절 끝의 패스트트랙 지정이 의미 있는 성과라고 자평했다. 그는 “한국당의 불법과 폭력적 반대에도 불구하고 4당 공조를 통해 정치개혁과 사법개혁 논의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면서 “사개특위와 정개특위가 열리면 본격적으로 논의가 시작되기 때문에 국회 정상화가 어렵지는 않을 것”이라고 희망 섞인 전망을 내놨다.

그는 야당 의원들에 대한 고소·고발을 취하할 생각이 없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동물 국회’의 재현을 막기 위해 본보기로 삼겠다는 취지다.

홍 원내대표는 “국회는 법 벗어난 성역이 아니다”라며 “고소·고발 문제는 별개 사안으로, 정치적인 거래와 협상용으로 유야무야 되지 않을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또 검찰의 준비가 끝나면 자진해서 수사에 응하겠다는 뜻도 재차 강조했다.

그의 임기 말 카운터파트였던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에 대한 서운함도 숨기지 않았다. 탄력근로제·최저임금 제도 개선 등의 시급한 현안에 대해서도 협조하지 않았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그는 “나경원 원내대표를 만나면 항상 ‘국정조사와 특검, 패스트트랙 하지 마라’ 세 가지를 요구했다”면서 “작년 같았으면 여야가 싸우더라도 이런 법들을 처리하면서 왔는데 나 원내대표와는 법안 한 건도 처리하지 못했다”고 성토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문재인 정부에 대한 지지와 응원도 아끼지 않았다. 홍 원내대표는 “지난 1년 반 동안은 국정과제와 목표를 명확히 하고, 그것을 입법화하거나 정책으로 만드는 과정이었다”며 “이제는 관리의 시기로 들어갔다. 분야별로 성과를 내고, 국민이 체감하게 하는 과정이 남아있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지향하는 방향은 옳은 방향이고, 지금 대한민국이 나가야 할 길을 뚜벅뚜벅 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은 오는 8일 오후 신임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경선에는 이인영·노웅래·김태년 후보(기호순)가 도전장을 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