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중국산 관세 10%→25% 인상’ 또다시 압박, 중국 ‘협상 보이콧 불사’ 반발

입력 2019-05-06 13:22
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 무역협상 진행 속도에 강한 불만을 드러내며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중인 관세를 오는 10일 추가 인상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지난달 9월 2000억달러(약 230조 원)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10% 관세를 25%로 올리고, 다른 상품에도 25% 관세를 새로 부과하겠다고 했다.

이는 협상 타결을 앞두고 대중 압박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리려는 의도로 보인다. 하지만 중국은 이번주 재개되는 무역협상을 취소하는 방안까지 고려하는 등 강력 반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트위터 계정에서 “지난 10개월 동안 중국은 500억 달러어치 하이테크에 25%, 그리고 2000억 달러 규모의 다른 상품에는 10% 관세를 미국에 지불해왔다. 금요일에는 10%가 25%로 오를 것”이라고 했다. 지난해 9월부터 2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부과한 10% 관세를 곧 25%로 인상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이 우리에게 보내는 3250억 달러(약 380조 원)의 추가 상품에 대해서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았지만, 곧 25%가 부과될 것”이라며 새로운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도 열어뒀다. 그는 “”중국과 무역협상이 계속되고 있지만 그들이 재협상을 시도하면서 너무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이는 안된다“라며 협상 속도에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에 대해 많은 중국 관리들이 깜짝 놀랐으며, 중국은 8일부터 재개될 고위급 무역협상을 취소하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협상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중국은 머리에 총이 겨눠진 상태로는 협상을 할수 없다”며 “아직 이번주에 협상을 계속할지 말지는 결정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중국은 압박 전술에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얘기해왔기 때문에 이번주 협상을 보이콧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WSJ는 전했다.

미국 대표단은 지난주 중국 베이징을 방문했고, 이번주 류허 중국 부총리가 이끄는 중국 대표단이 워싱턴DC를 찾아 고위급협상을 이어가기로 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인상 시기로 밝힌 오는 10일쯤에는 미중 무역협상 합의가 이뤄질 것이란 기대도 나왔으나 새로운 암초가 등장한 셈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관세 위협은 협상에서 유리한 결과를 얻기 위해 중국을 압박하고, 국내에서 점수를 따기 위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 백악관에서 “(미중 무역협상이) 역사적이고 기념비적인 협상에 가까워지고 있다”면서도 “협상이 이뤄지지 않아도 우리는 괜찮다. 어쩌면 더 좋을 수도 있다”고 재차 중국을 압박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최근 중국이 기술이전 관련 핵심 사안 등 기존의 몇가지 약속에서 입장을 바꿔 미국 관리들을 좌절케 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미국은 여전히 중국의 협상 태도에 불만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패터슨 국제경제연구소 차드 바운 선임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부과 언급은 단순한 위협일 가능성이 크다”며 “이번주 후반 협상이 타결된다면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하게 밀어부쳐서 딜을 얻어낸 것처럼 보이게하기 위한 차원일 수도 있다”고 해석했다.

특히 관세부과에 대한 미국 산업계와 소비자업계의 반발도 만만치 않아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 관세를 추가 부과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반대하는 무역 협회 연합체인 ‘관세가 심장부를 해친다(Tariffs Hurt the Heartland)’는 “가구, 전자제품, 식료품 등을 사는 미국인들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협상 타결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며 “추가 관세 부과는 더 나은 협상을 이끌어내기 위한 지렛대가 아니라 미국 시민들 주머니에서 돈을 빼내가는 조치”라고 반발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