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북한이 전날 발사한 단거리발사체와 관련해 정부의 축소 발표 의혹을 제기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단거리발사체 발사 직후, 이를 ‘단거리 미사일’이라고 지칭했다가 40여분 뒤 ‘단거리발사체’로 정정했다. 황교안 당대표는 “정부가 북한의 도발 위협을 축소한 것은 아닌지 철저하게 따져봐야 한다”며 “정부의 발표 정정 과정을 철저히 추적해달라”고 당에 주문했다.
황 대표는 5일 국회에서 열린 북핵외교안보특별위원회 5차 회의에 참석해 “많은 전문가들이 북한이 단거리 탄도미사일인 ‘북한판 이스칸데르’(러시아의 전술 탄도미사일)를 발사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북한의 방사포와 탄도미사일을 섞어 발사한 전례도 있는 만큼 이번에도 그렇게 하지 않았나 하는 의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황 대표는 “만약 단거리탄도미사일 발사가 사실이라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전면 위반한 것”이라며 “정치적 요인에 의해 정부가 발표를 정정하고 위협을 축소한 것이라면 그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어린아이가 새총 쏜 것도 아니고, 발사체라는 말을 군에서 사용할 수가 있느냐. 참 답답하기 짝이 없는 군”이라며 “특위 차원에서 발표 정정 과정을 철저하게 추적해줄 것”을 당부했다.
북핵외교안보특위 위원장인 원유철 의원도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하는 현대판 홍길동전을 보는 느낌”이라며 “합침이 무엇 때문에 처음에는 미사일로 발표했다가 이후에 발사체로 변경했는지 그 과정과 이유를 소상히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보탰다.
황 대표는 전날 광화문에서 열린 문재인 정부 규탄 집회에서도 “정부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며 정부가 북한의 위협을 축소 발표했다는 취지의 주장을 했다.
이에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페이스북 글을 통해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 한미 양국의 분석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지나친 속단은 금물이다. 북한도 합의 내용을 일탈하지 않는 군사 훈련이나 발사체 실험 발사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황 대표의 주장을 전면으로 반박했다.
심우삼 기자 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