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김관영 끌어내리기’ 액션 돌입한 유승민·안철수 연합군

입력 2019-05-02 17:40 수정 2019-05-02 17:56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지명직 최고위원 2명을 전격 임명하며 친정체제 강화에 나서자 ‘반(反) 손학규’ 진영인 유승민·안철수계 연합도 사퇴 촉구를 넘어 직접 행동을 시작했다.

하태경 최고위원은 2일 손 대표의 지명직 최고위원 임명과 관련해 ‘무효 확인 소송 및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서울 남부지법에 제출했다. 양측의 지도부 사퇴 공방이 법적 다툼으로까지 이어지는 모습이다. 손 대표는 앞서 1일 바른정당 출신 최고위원 3인(하태경·권은희·이준석)이 최고위에 불참하는 것에 대항해 주승용 국회부의장, 문병호 전 국민의당 의원을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임명했다.

하 최고위원은 “당헌에는 지명직 최고위원을 당대표가 최고위원회와 협의를 거쳐 임명하도록 규정돼 있다”며 “그러나 전날 최고위는 재적 7명 중 손 대표와 김관영 원내대표만 참석해 회의 자체가 성립 안 됐다. 안건상정조차 이뤄지지 못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법원이 조속히 심사에 착수해 잘못을 바로잡아줄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정치적 행위라고 해석하고 싶다. 법조인 출신으로서 아무리 검토해봐도 될 가능성이 없다”고 반발했다.

바른정당계와 일부 ‘안철수계’ 의원들은 김 원내대표 사퇴 추진을 위해 본격적인 세 규합에 나서고 있다. 현 지도체제에 반기를 든 의원들의 수가 과반을 훨씬 넘었다고 판단하고 있는 상황에서 의원총회 등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손 대표와 김 원내대표의 동반 사퇴를 압박하기로 했다.

뜻을 모으기로 한 한 의원은 “지도부의 패스트트랙 추진에 찬성하든 반대하든 하는 문제와 별개로 이번 정국에서 김 원내대표의 행동이 당내 민주주의를 심각하게 훼손했다는 공감대가 당내 형성돼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원내대표 사퇴에 동의하는 의원수가 과반을 훌쩍 넘는다”고 강조했다.

원외 바른정당계, 안철수계 인사들의 세 규합도 빨라지고 있다. 바른정당 및 국민의당 출신 전현직 지역위원장과 정무직 당직자 등 138명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연석회의를 열고 지도부 총사퇴와 ‘안철수·유승민 등판’을 촉구했다. 이들은 “창당정신에 따라 안철수·유승민 공동대표체제를 출범시켜야 한다” 강조했다.

바른정당계 좌장인 유승민 의원도 경희대 강연 후 기자들과 만나 “(김 원내대표가) 거짓말로 동료 의원들을 속이고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정치적·법적 책임을 지는 게 당연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