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문제 해결을 꾀하며 북일 정상회담 개최 의지를 밝혔다.
아베 총리는 2일 산케이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조건 없이 김정은 조선 노동당 위원장(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나 솔직하게,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산케이는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문제 해결이 지연되는 가운데, 아베 총리가 강한 메시지를 보내 사태 해결을 위한 결의를 밝힌 것이라고 해석했다.
아베 총리는 “납치 피해자 5명이 귀국한 후, 1명의 납치 피해자도 추가로 귀국하지 못하고 있다”며 “납치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온 정치가로서 통한의 극치”라고 호소했다. 북한은 2002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총리의 방북 후 일본인 5명을 일시귀환 형태로 돌려보낸 바 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와 연대하는 동시에, 우리나라(일본)가 주체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상호 불신의 껍질을 깨기 위해서는 내가 김 위원장과 직접 마주보는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에 대해서는 “국가에 있어서 무엇이 최선인지를 유연하고도 전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도자”라고 치켜세웠다.
이어 “납치문제를 해결하는 일은 우선 북일 평양선언에 따라서 수교하는 것”이라며 2002년 당시 고이즈미 총리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서명한 북일 평양선언이 협상의 기초라는 뜻을 밝혔다.
앞서 지난달 26~27일 방미 때 “트럼프 대통령과 골프장 사이를 차로 이동하는 약 50분간 단둘에서 납치문제 등을 논의했다”고도 언급했다.
또 오는 25일 일본에 국빈 방문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납치피해자 가족과 꼭 만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베 총리는 2차 북미 정상회담 전후로 납치문제를 언급하며 북일정상회담 개최 의지를 피력해왔다.
회담이 개최되기에 앞서 지난 2월 중순에는 납치피해자가족회와 만났고,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회담에서도 납치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을 요청했다.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지난 2월28일 당일에도 납치문제가 거론된 것을 확인하고는 반색했다.
이후 국회에서도 납치문제가 북미회담에서 거론된 것을 어필했다. 지난 3월 국회에서 “납치문제는 일본과 북한 간의 문제로, 북일이 이야기하지 않으면 해결되지 못한다”며 “북일 정상간의 대화로 연결시키고 싶다”고 강조했다. “김정은 위원장도 미국이 납치문제를 중시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했다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아베 총리가 이처럼 납치문제에 집착하는 것은 남북미를 중심으로 한 한반도 비핵화 논의에서 사실상 소외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북한과의 연결고리가 국제 외교무대에서 소외됐다는 비난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보고, 국내적 관심이 높은 납치문제를 내세워 아베 총리 자신의 외교적 성과로 부각하려 한다는 해석이다.
백승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