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장관 “한·미 지향점 ‘북한 완전한 비핵화’ 동일…통일보다 평화 공존 우선”

입력 2019-05-01 19:18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일 서울 성북구 한성대학교 낙산관 대강당에서 '평화'를 주제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하고 있다. 뉴시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1일 한·미 간 비핵화 협상의 목적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로 같지만 방법론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어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또 한·미 공조가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강 장관은 이날 서울 한성대학교에서 열린 강연에서 ‘한국과 미국 간에 비핵화 프로세스에 대해서 방법론 차이 있는 거 같은데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궁금하다’는 질문에 “한·미 간 목적과 지향점은 분명히 같다. 완전한 비핵화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다. (한·미가) 가는 방법에 있어서 밀고 당기기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강 장관은 이어 “물론 한·미가 의견이 꼭 같을 수는 없다”면서도 “그렇지만 우리는 기본적 접근방법에 있어서 포괄적 접근으로 가서 합의를 이루되 이행은 단계적으로 갈 수 밖에 없다, 동시적·병행적으로 갈 수 밖에 없다는 데서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로 간에 위치에 따라서 또 국제사회에서 갖고 있는 영향력이나 롤에 따라서 다를 수밖에 없지만 그렇기 때문에 공조가 중요하다. 그 이견을 공조를 통해서 조율하고 한 목소리를 내는 게 공조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일 서울 성북구 한성대학교 낙산관 대강당에서 '평화'를 주제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하고 있다. 뉴시스

강 장관은 북·미 비핵화 협상에 대해서는 낙관적 전망을 내놨다. 그는 “북한이 하노이에서 전혀 다른 접근법을 가져왔기 때문에 결국에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북·미가) 서로 입장이 무엇인지 확실한 이해가 있어 다시 대화가 재개되면 훨씬 심도 있는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통일에 관한 질문에 대해서는 “두 체제가 대화를 하다 중단되다 다시 시작했다. 1953년 서명된 정전협정 체제 하에 있다”며 “평화협정으로 대체하는 프로세스를 거쳐 남북이 평화공존으로 가야하고, 서로 편해지는 상황이 되면 통일에 대한 논의도 자연스럽게 이뤄질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정부의 목표는 통일이 아니라 평화적 공존”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강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은 어떤 리더냐는 질문엔 “문 대통령은 임명장 주시는 순간에 처음 봤고 그전엔 전혀 인연이 없었다”며 “그간 본 문 대통령은 굉장히 사고가 깊으시고 진정성 있는 지도자이신 것 같다. 그건 문 대통령을 만난 외국 지도자들도 한결같이 하는 평”이라고 말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