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1일 노동절을 맞아 자신의 SNS를 통해 ‘노동이 자랑스러운 나라를 만들고 싶습니다’라는 글을 게시하며 “갈 길이 멀지만 노사정이 함께 하는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조속한 정상화로 좋은 결실을 이뤄내길 기대한다”며 “노동계 또한 우리 사회의 주류라는 자세로 함께해 주시기 바란다. 과거 기울어진 세상에서 노동이 투쟁’으로 존중을 찾았다면 앞으로의 세상에서 노동은 상생으로 존중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의 이같은 입장은 경사노위가 공전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경사노위에 불참 중인 상황에서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마저 지난 30일 “경사노위를 재구성해야 한다”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사회적 대화 불참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국노총마저 불참하면 경사노위는 사실상 노사정 대화 기구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된다.
문 대통령은 노동 정책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최저임금 인상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주 52시간 근로제는 모두 노동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노동의 질을 높이고자 한 정책들”이라며 “하루아침에 사회가 달라질 순 없겠지만 산업안전보건법의 개정은 갈수록 노동자의 안전과 건강을 높여줄 것”이라 밝혔다. 그러면서 “고공 농성이나 단식 등으로 고생하던 노동자들이 일터로 돌아갈 수 있게 된 것도 다행스럽다. 쌍용자동차와 KTX 여승무원, 파인텍, 콜텍악기 등 우리 정부 출범 이전부터 있었던 오랜 노동문제들이 모두 해결됐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30일 개관한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기념관’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전태일이라는 이름을 남몰래 부르던 시절을 지나 우리는 아이들의 손을 잡고 ‘노동의 숭고함’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며 “기념관이 세워지기까지 애써주신 서울시와 관계자분들에게 감사한다”고 전했다.
끝으로 문 대통령은 “노동이 자랑스러운 나라를 만들고 싶다. 노동으로 꿈을 이루고, 노동으로 세계를 발전시키고, 노동으로 존경받을 수 있는 나라를 이뤄내고 싶다”며 “‘숙련공’ ‘기능공’ ‘마스터’들이 우리의 일터 곳곳에서 또는 사회 곳곳에서 주역으로 대접받는 모습을 보고 싶다”고 밝혔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