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가 마산항 개항 120주년을 맞아 제2의 개항을 선언했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29일 “동북아 해양메카, 신해양산업 창조도시, 1000만 해양 관광도시를 3대 전략으로 16개 주요정책을 담은 ‘Again 동북아 게이트웨이 프로젝트’ ”를 발표했다.
허 시장은 “마산항 개항 120년과 함께 제2신항 유력후보지로 진해구가 유력시 되고 특례시도 가시화 되는 등 창원시가 동북아 해양도시로 발돋움 할 시대적 여건을 갖췄”며 “120년 전 제1개항이 상선에 의한 물류 교류에 중점을 뒀다면, 제2개항은 물류를 넘어 신산업, 문화, 관광에 이르기까지 전분야에 걸쳐 세계와의 소통에 목적을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시는 먼저 창원을 동북아 메카로 성장시켜 해양도시로서의 위상을 분명히 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100만 해양기초시 자주권 확보’, ‘창원 3대항 특화육성’, ‘창원도시해양공사 설립’, ‘ 자연친화적 인공조간대’, ‘내호구역 오염퇴적물 정화’, ‘깨끗한 바다 800리길 만들기’, ‘근대항만 역사관 건립 등 7개 정책과제를 추진한다.
마산항은 시민여가 항만으로 조성하는 한편, 국제 물류교류 확장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항만 비즈니스 타운 조성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진해항은 글로벌 크루즈 전용터미널로 특화시키고 속천항은 해양관광 미항으로 리모델링한다.
제2신항은 국정과제와 연계해 스마트 기능이 더해진 동북아 최대 물류허브항으로 구축하는 한편, 물류가공단지 지정추진으로 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항만으로 조성해 나간다.
문화와 사람이 교류하는 1000만 해양 관광도시로의 진입을 위해 ‘세계 최장 워터프론트’, ‘ 이순신 동상 및 신월영대’, ‘해양 체험관광 인프라 확충’, ‘5대 해양 프로젝트 가속화’, ‘해상교통시스템 도입’ 등 5개 정책과제를 추진한다.
창원시는 이날 발표한 사업에 국도비와 민자를 포함 2조5000억원 사업비가 투입되며, 생산유발효과는 5조6000억원, 고용유발효과는 3만4000명으로 추산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창원시, 제2의 개항 선언 동북아 신해양 거점도시로 힘찬 기지개
입력 2019-04-29 1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