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발이 멈춰섰다…영동지역 4개 시‧군 시내버스 총파업

입력 2019-04-29 10:57
29일 오전 고성군 주민들이 고성군청 앞 버스정류장에서 고성군이 마련한 비상수송버스를 타고 있다. 고성군 제공

시민의 발이 멈춰섰다.

강원도 영동지역 4개 시‧군에서 시내‧시외버스를 운행하는 동해상사고속 노조가 29일부터 무기한 전면 파업에 들어갔다. 해당 자치단체들은 수송 대책을 마련하는 등 비상에 걸렸다.

강원도에 따르면 동해상사고속 노사 간 임금협상이 결렬되면서 이날 오전 6시25분 강릉~동서울 노선을 시작으로 회사가 운행 중인 시외버스 22개 노선이 전면 중단됐다. 또한 고성과 강릉, 동해, 속초에서 동해상사가 운행하는 시내버스도 이날 오전 6시부터 운행을 멈췄다. 시내버스는 고성지역 전체 20개(100%) 노선, 강릉지역 24개(24%) 노선, 동해 22개(50%) 노선, 속초 15개(55.6%) 노선이 멈춰섰다.

동해상사고속은 속초·고성지역 시내버스 37대, 강릉 28대, 동해 14대와 시외·고속버스 53대 등 모두 132대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파업으로 영동지역 전체 280개 노선 중 23.2%에 해당하는 65개 노선이 운행을 중단했다.

강원도와 해당 자치단체들은 무료 전세버스와 관용버스를 노선에 투입하고, 택시 부제를 해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강원도는 주문진~서울남부터미널 노선에 전세버스 4대를 투입한다. 강릉시는 파업이 끝날 때까지 7개 노선에 전세버스 8대를 운행하기로 했다. 동해시는 전세버스 2대와 관용버스 1대, 속초시는 전세버스 6대, 관용버스 1대, 고성군은 전세버스 11대와 희망택시를 투입해 시민불편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홍효기 동해시 안전도시국장은 “이번 버스 파업으로 시민들에게 큰 불편을 드려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택시 부제를 해제 하거나 전세버스를 추가 투입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노사 갈등의 핵심은 임금이다. 노조는 지난해 7월부터 주 68시간 근로 적용에 따라 초과근무 시간이 줄면서 월 평균임금이 감소하자 사측에 보전을 요구해 왔다. 노사는 지금까지 4차례의 조정회의와 2차례의 사후조정을 거쳤으나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고성=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