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가 전주종합경기장 부지(12만2975㎡)의 3분의 1을 ㈜롯데쇼핑에 최장 99년간 임대해주는 조건으로 개발 계획을 세워 논란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정작 철거가 예정된 경기장에 10억원 이상을 들여 리모델링 작업을 펼치고 있어 비난을 사고 있다.
27일 전주시와 전주시설공단에 따르면 전주시는 지난 2월말부터 종합경기장안에서 ‘공공체육시설 바닥재 교체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전주시는 이 공사를 통해 운동장 육상 트랙과 야외보조트랙 등 전체 1만 5000㎡에 깔려 있던 우레탄을 새로 교체할 계획이다. 현재 옛 우레탄을 모두 걷어내고 바닥을 다지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 공사엔 전체 8억 5000만원(국비 50%, 시비 50%)의 예산이 투입된다. 시는 지난 달 초 공사를 시작, 오는 7월말 마무리할 예정이다.
전주시는 또 지난해 말부터 경기장 건물 1층에서 용도실 환경개선사업을 펼치고 있다.
시는 건물에 입주해 있는 전주시체육회 사무실과 체력단련실 등 6개 사무실의 천정과 바닥재 교체, 벽면 도색작업을 펴고 있다. 5월말 완공되는 이 사업엔 시비 2억 원이 들어갔다.
시 관계자는 “우레탄 교체 사업은 납 성분 검출 등에 대한 보완책으로 지난 2016년 국비를 지원받은 것이나 뒤늦게 진행하고 있고, 실내 사무실은 낡아 전면 보수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들 공사가 진행중인 종합경기장은 최근 전주시가 계획한 ‘시민의 숲 1963’ 프로젝트에 따라 머잖아 철거될 예정이다. 이에 결국 1∼2년새 없어질 시설물에 모두 10억 5000만원의 세금만 쏟아붓고 있다는 비난이 잇따르고 있다.
서난이 전주시의원은 “큰 예산 낭비다”며 “경기장 개발과 리모델링 계획이 어떻게 함께 추진될 수 있었는지 명확히 따져 봐야한다”고 말했다. 김남규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정책위원장은 “이해 할 수 없다. 갈팡질팡한 정책으로 인해 엉뚱한 곳에 시민의 혈세만 뿌려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앞서 김승수 전주시장은 지난 17일 “전주종합경기장 부지 재생방식을 통해 사람·생태·문화를 담은 시민의 숲과 MICE산업의 혁신기지로 개발하는 ‘시민의 숲 1963’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계획에 따르면 8만여㎡ 부지는 전주시가 500억원을 들여 4개의 숲으로 조성하고 4만여㎡는 ㈜롯데쇼핑에 임대된다. ㈜롯데쇼핑은 이 부지에 백화점을 건립하는 대신 1000억원을 들여 전시컨벤션센터와 호텔을 지어 전주시에 기부채납하게 된다. 호텔은 20년간 롯데에서 운영한 뒤 전주시에 반환한다.
하지만 김 시장이 ‘경기장을 중심으로 덕진권역 뮤지엄 밸리를 조성하겠다’는 자신의 공약을 파기하고 공론화 과정 없이 이 같은 계획을 전격 발표해 지역에서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백화점 부지를 ㈜롯데쇼핑에 50년(최장 99년)간 임대해주겠다는 조건을 놓고 특혜 의혹이 커지고 있다. 전주시는 장기 임대가 현 법률에서는 불가능하자 ‘외국인투자유치법’을 인용해 이를 허가키로 한 것으로 알려져 “금싸라기 땅을 롯데에 그냥 바치려고 한다”는 비난이 커지고 있다.
1963년 전북도민들의 성금으로 만들어진 전주종합경기장은 낡고 오래돼 2005년 새로운 곳에 건립하고 이 부지는 다른 용도로 활용키로 했으나, 부지 개발 방식을 놓고 전주시와 전북도가 해법을 찾지 못하고 14년을 끌어왔다.
전주=글 사진 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